search for




 

J Korean Med Rehabi 2020 Oct; 30(4): 89-103  https://doi.org/10.18325/jkmr.2020.30.4.89
Research Trends of Herbal Medicines for Obesity: Mainly since 2015 to 2019
Published online October 31, 2020
Copyright © 2020 The Society of Korean Medicine Rehabilitation.

Soo-Jeon Kim, K.M.D.*, Yeon-Ho Seo, K.M.D.*, Han-Sol Lee, K.M.D., Ho-Kyung Chang, K.M.D., Jae-Heung Cho, K.M.D., Ph.D., Koh-Woon Kim, K.M.D., Ph.D., Mi-Yeon Song, K.M.D., Ph.D.

Department of Korean Rehabilitation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Korean Medicine Hospital at Gangdong*, Department of Korean Rehabilitation Medicine, Kyung-Hee University Medical Center, Department of Korean Rehabilitation Medicine, College of Korean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Correspondence to: Mi-Yeon Song, Department of Korean Rehabilitation Medicine, College of Korean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892 Dongnam-ro, Gangdong-gu, Seoul 05278, Korea
TEL (02) 440-7575
FAX (02) 440-7494
E-mail mysong71@khu.ac.kr
Received: September 8, 2020; Accepted: September 25, 2020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Abstract
Objectives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to verify frequently used herbs and herbal formulas to treat obesity in Korea during 2015 to 2019.
Methods Publications related to treatment of obesity using herbal medicines from 2015 to 2019 were retrieved from 12 databases (PubMed, EMBASE, Scopus, China National Knowledge Infrastructure [CNKI], Korean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National Digital Science Library [NDSL],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 DBPIA, KMBASE, KoreaMed, KoreanTK, Oriental Medicine Advanced Searching Integrated System [OASIS]). Extracted articles were analyzed in terms of publication year, journal, and type of herbs.
Results A total of 136 studies have been included in this study. 33 herbal formulaes and 129 herbs have been analyzed. Taeyeumjowui-tang was the most frequently studied herbal formulae and Ephedrae Herba was the most frequently studied herb. Ginseng Radix was the most frequently studied single herb in isolation from herbal formulae.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various herbs and herbal formulae can be used to treat obesity. Since this study includes every type of study, additional studies based on clinic are thought to be necessary.
Keywords : Obesity, Herbal medicine, Herbal, Weight loss
서론»»»

비만은 체내에 지방조직이 과다하게 축적되어 있는 상태로 유전 및 환경적 요소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병하며 고혈압, 고지혈증, 제2형 당뇨병 등의 다양한 합병증을 수반하는 질환이다1). 비만의 전 세계적인 유병률은 1975년엔 1% 미만이었으나 2016년에는 6-8%로 지난 40년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남성의 유병률은 같은 기간 내에 3%에서 11%로 증가했고, 여성은 6%에서 15%로 증가하였다2).

비만의 양방 치료는 크게 생활 방식 치료, 약물적 치료, 수술로 나뉠 수 있는데 신체적 활동, 인지 행동 치료, 식이 조절 등의 생활 방식 치료가 실패하게 될 경우 약물 혹은 수술적 치료도 고려해볼 수 있다3). 하지만 1997년 미국 식품의약국(Food and Drug Administration) 승인 후 널리 쓰였던 sibutramine (reductil)과 같이 심장마비나 뇌졸중의 위험을 높인다는 것이 밝혀진 후 2010년 판매 중단되는 경우와 같이 양약의 부작용이 많이 보고되는 시점에서 약물적 사용은 한계가 있을 수 있다4). 수술과 관련된 합병증 또한 10%에서 17%의 발생 확률이 있으며 재수술의 비율은 7% 가량이다5).

국내에서는 1997년 대한한방비만학회가 창립되고 2001년부터 한방비만학회지가 발간되는 등 비만에 대한 꾸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지속적으로 비만과 관련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추세이다. 한약에 관련된 기존 연구 중 2006년에 발표된 논문에서는 비만에 쓰이는 한약 및 본초의 빈도를 계산한 Hang 등6)의 연구가 있으며, 이후 이와 동일한 방식으로 진행된 연구는 없다. 한의학계 전체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거나7), 성인 비만의 한약 치료에 대한 체계적 고찰8) 등 한약을 활용한 다양한 임상 시험과 실험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최신 경향을 반영하여 분석한 연구는 부족한 것으로 생각되어 본 연구에서는 2015년부터 2019년까지 최근 5개년동안 한국에서 비만의 한약 치료에 대한 한의계에서의 연구 동향을 파악,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 및 방법»»»

1. 검색 방법

2015년 1월 1일부터 2019년 12월 31일까지 발표된 논문을 대상으로 해외 문헌은 PubMed, EMBASE, Scopus, China National Knowledge Infrastructure, 국내 문헌은 한국학술정보(Korean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과학기술정보통합서비스(National Digital Science Library), 학술연구정보서비스(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DBPIA, KMBASE, KoreaMed, 한국전통지식포탈(KoreanTK), 전통의학정보포털(Oriental Medicine Advanced Searching Integrated System)을 이용하여 검색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한 주요 검색어는 “(Herbal or Herb) AND (Obesity)”, “(Herbal or Herb) AND (Obese)”, “(Herbal or Herb) AND (Weight loss)”, “(Herbal or Herb) AND (Weight control)”, “(비만 OR 체중 감소 OR 체중 조절) AND (한약 OR 본초)” 이었다8).

2. 선정 기준 및 배제 기준

검색된 논문은 제목과 초록을 통해 1차로 확인하고, 이후 논문의 원문을 검토하여 다음의 기준을 충족시킬 때 포함하였다. (1) 국내/외 학회지에 발표된 국내에서 진행된 연구, (2) 2015년 1월 1일부터 2019년 12월 31일까지 발표된 연구, (3) 비만에 대하여 한약 치료를 시행하여 항비만 효과를 본 연구, (4) 대한민국약전 및 대한민국약전 외 한약 생약 규격집에 포함된 한약을 대상으로 한 연구, (5) 실험 논문, 임상 연구, 증례 보고가 포함되었다. 반면 다음의 기준에 해당될 경우 배제하였다. (1) 한약을 포함하지 않은 치료를 시행한 연구, (2) 한국에서 진행되지 않은 연구, (3) 대사증후군, 당뇨병 등의 비만 이외의 만성 대사 질환만 대상으로 한 연구, (4) 원문을 구할 수 없는 연구, (5) 논문 내에 처방 구성 약물이 정확하게 명시되지 않아 사용된 본초를 분석할 수 없는 연구, (6) 프로토콜 논문, 학위 논문 등의 회색 문헌은 제외하였다.

검색된 논문은 중복된 논문을 제외하고 총 2,004편이었으며, 논문 제목과 초록을 확인하여 비만치료와 관련성이 없는 경우와 대사증후군 및 당뇨병, 고지혈증 등 다른 질병을 가진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 경우, 한약 치료를 포함하지 않은 경우, 국내에서 시행되지 않은 연구의 경우를 제외하여 230편의 논문이 선정되었다. 이후 원문을 확보하지 못하거나 본문을 확인하여 본 연구의 취지에 맞지 않는 경우 등 배제 기준에 해당하는 논문들을 제외하여 총 136편의 논문이 선정되었다(Fig. 1, Appendix I~V).

Fig. 1. Flow diagram of study screening. CNKI: China National Knowledge Infrastructure, KISS: Korean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NDSL: National Digital Science Library, RISS: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OASIS: Oriental Medicine Advanced Searching Integrated System.

3. 연구 방법

임상연구논문, 실험논문, 증례 보고를 포함한 논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에서 사용된 한약을 위주로 분석하였다. 한약 치료와 함께 침 등 기타 치료법을 사용한 경우도 포함하였다. 사용된 복합 처방 및 본초의 빈도를 분석 시에는 한 연구에서 여러 처방이 사용된 것은 개별적으로 포함시켰으며, 단미의 형태로 사용된 경우와 복합 처방에 사용된 본초는 각각 개별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1. 연구에 포함된 처방과 본초

136편의 논문에서 총 33개의 처방과 129개의 본초가 포함되었다.

2. 연구에 포함된 처방과 본초의 빈도

1) 처방

가장 많이 사용된 처방은 태음조위탕이었으며, 방풍통성산, 의이인탕, 양격산화탕은 그 다음으로 빈용된 처방이었다. 또한 통규활혈탕이나 서각지황탕 등 어혈을 해소하기 위한 처방들도 관찰되었으며, 변증의 중요성도 고려해볼 수 있었다(Table Ⅰ).

Frequency of Herbal Formula

Frequency Herbal formula
5 Taeyeumjowui-tang
3 Bangpungtongsung-san, Yanggyeoksanhwa-tang
2 Euiiin-tang, Gangji-hwan, Tongyuhwalhyeol-tang
1 Gyejibokryeong-hwan, Gambi-tang, Yeonggyechulgam-tang, Haewoolhwajoong-tang, Samryongbakchul-san, Gambi-hwan, Samchulkunbi-tang, Daecheongryong-tang, Hwangryunhaedok-tang, Yeoldahanso-tang, Hwanggimacmundong-tang, Tongbi-san, Oyaksunki-san, Seungyangjeseup-tang, Gamche-tang, Sosiho-tang, Doinseungui-tang, Ojeok-san, Cheongpesagan-tang, Yukmijiwhang-tang, Galgeun-tang, Seogagjihwang-tang, Dohongsamul-tang, Banhasasim-tang, Hyangsayangyi-tang, Banggihwanggi-tang, Samsoeum

2) 본초

가장 많이 사용된 본초는 마황이었으며, 그 뒤로 감초, 의이인, 인삼, 길경, 진피, 백출, 복령, 황금 등이 사용되었다(Table Ⅱ).

Frequency of Single Herb

Frequency Herb (n)
Above 20 Ephedrae Herba (28), Glycyrrhizae Radix (25)
Above 15 Coicis Semen (18), Ginseng Radix (17), Aurantii Nobilis Pericarpium (17), Platycodi Radix (16), Poria Cocos (16), Atractylodis Macrocephalae Rhizoma (16)
Above 10 Scutellariae Radix (15), Liriopis Tuber (11), Gypsum Fibrosum (11)
Above 5 Rhei Radix et Rhizoma (10), Paeoniae Radix Rubra (10), Cnidii Rhizoma (10), Angelicae gigantis Radix (9), Gardeniae Fructus (9), Alismatis Rhizoma (9), Menthae Herba (8), Rehmanniae Radix Preparata (8), Curcumae Radix (8), Puerariae Radix (7), Cinnamomi Ramulus (7), Persicae Semen (7), Ledebouriellae Radix (7), Acori Graminei Rhizoma (7), Allii Fistulosi Bulbus (7), Astragali Radix (7), Rehmanniae Radix (7), Crataegi Fructus (6), Forsythiae Fructus (6), Schizandrae Fructus (6), Schizonepetae Herba (6), Coptidis Rhizoma (6), Magnoliae Cortex (6)
5 Zingiberis Rhizoma, Castaneae Semen, Raphani Semen, Hordei Fructus Germinatus, Moutan Cortex Radicis, Pinelliae Rhizoma, Aurantii Immaturus Fructus, Atractylodis Rhizoma, Bupleuri Radix
4 Artemisiae Capillaris Herba, Paeoniae Radix Alba, Dioscoreae Rhizoma, Massa Medicata Fermentata, Lonicerae Caulis, Cyperi Rhizoma, Carthami Flos, Eriobotryae Folium, Amomi Fructus
3 Aconiti Tuber, Cimicifugae Rhizoma, Polygoni Multiflori Radix, Angelicae Tenuissimae Radix, Natrii Sulfas, Angelicae Dahuricae Radix, Corni Fructus, Zizyphi Spinosae Semen, Nelumbinis Semen, Polygalae Radix, Anemarrhenae Rhizoma, Armeniacae Amarum Semen, Talcum
2 Lycii Fructus, Radix Salviae Miltiorrhizae, Polygoni Multiflori Radix, Dolichoris Semen, Mori Folium, Violae Herba, Laminariae Thallus, Stephaniae Tetrandrae Radix, Arecae Semen, Moschus, Saururi Herba seu Rhizoma, Perillae Herba, Houttuyniae Herba, Longanae Arillus, Cinnamomi Cortex, Lithospermi Radix, Peucedani Radix, Aurantii Immaturus Fructus, Asparagi Radix
1 Euphorbiae Kansui Radix, Osterici Radix, Rhizoma Curcumae Longae, Drynariae Rhizoma, Melonis Calyx, Agastachis Herba, Rosae Laevigatae Fructus, Lonicerae Flos, Thea sinensis, Glycine Semen Preparatum, Arecae Pericarpium, Aucklandiae Radix, Myrrha, Bombycis Batryticatus, Amomi Rotundus Fructus, Tokoro Rhizoma, Mori Cortex Radicis, Mori Ramulus, Rhinocerotis Cornu, Inulae Flos, Tritici Levis Semen, Veratri Nigri Rhizoma et Radix, Rosae Multiflorae Fructus, Evodiae Fructus, Linderae Radix, Gentianae Scabrae Radix, Agrimoniae Herba, Achyranthis Radix, Leonuri Herba, Perillae Semen, Polyporus, Phaseoli Angularis Semen, Caryophylli Flos, Gleditsiae Spina, Phyllostachyos Folium, Sanguisorbae Radix, Plantaginis Semen, Citri Reticulatae Viride Pericarpium, Artemisiae Annuae Herba, Amomi Tsaoko Fructus, Typhae Pollen, Trigonellae Semen, Polygoni cuspidati Radix, Phellodendri Cortex, Foeniculi Fructus


3. 처방과 별개로 연구된 본초의 빈도

처방 내 구성 약물을 제외하고 단미로만 가장 많이 연구된 본초는 인삼이었으며, 울금, 마황, 의이인, 숙지황, 비파엽, 황금도 순이었다(Table Ⅲ).

Frequency of Single Herb in Isolation from Herbal Formula

Frequency Herb
11 Ginseng Radix
4 Curcumae Radix
3 Ephedrae Herba, Coicis Semen, Rehmanniae Radix Preparata, Eriobotryae Folium, Scutellariae Radix
2 Platycodi Radix, Aconiti Tuber, Aurantii nobilis pericarpium, Atractylodis Macrocephalae Rhizoma
1 Glycyrrhizae Radix, Cnidii Rhizoma, Alismatis Rhizoma, Puerariae Radix, Persicae Semen, Acori Graminei Rhizoma, Allii Fistulosi Bulbus, Crataegi Fructus, Artemisiae Capillaris Herba, Cimicifugae Rhizoma, Lycii Fructus, Radix Salviae Miltiorrhizae, Polygoni Multiflori Radix, Dolichoris Semen, Mori Folium, Violae Herba, Euphorbiae Kansui Radix, Drynariae Rhizoma, Melonis Calyx, Agastachis Herba, Rosae Laevigatae Fructus, Glycine Semen Preparatum, Myrrha, Tokoro Rhizoma, Mori Ramulus, Inulae Flos, Tritici Levis Semen, Veratri Nigri Rhizoma et Radix, Rosae Multiflorae Fructus, Gentianae Scabrae Radix, Agrimoniae H. Herba, Leonuri Herba, Gleditsiae Spina, Sanguisorbae Radix, Plantaginis Semen, Artemisiae Annuae Herba, Amomi Tsaoko Fructus, Poria cocos wolf, Amomi Fructus, Bupleuri Radix, Rehmanniae Radix


4. 연도별 분포

비만 치료에 사용한 한약에 대한 연구는 최근 5년간 지속적으로 보고되었으나 최근에는 조금씩 감소하는 경향이 있었다(Fig. 2).

Fig. 2. Annual distribution of studies.

5. 학회지별 분류

국내에서는 이전 연구 동향과 비슷하게 한방비만학회지에서 가장 많은 논문이 발표되었고, 대한본초의학회지와 한방재활과학회지가 그 뒤를 따랐다. 해외 학술지에서 국내 연구가 발표된 빈도로는 Evidence-base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에서 가장 많은 논문이 발표되었고, BMC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와 Journal of Ethnopharmacology가 그 뒤를 따랐다. 국내에서는 비만에 관련된 한약 연구가 주로 발표되는 학술지가 한정되어 있어 22개의 논문이 하나의 학술지에 집중된 반면, 해외에서는 좀 더 다양한 학술지에 분포되어 있어 가장 높은 빈도가 11회였다.

한방비만학회지에서는 후향적 연구, 증례보고 등을 포함한 임상 연구가 11개, 동물 및 세포를 이용한 실험 연구가 11개로 임상 연구와 실험 연구의 비율이 동일했다. 이에 비해 Evidence-base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에는 임상 연구 1개를 제외하고는 모두 실험 연구 위주로 게재되었다.

고찰»»»

본 연구에서는 비만에 쓰이는 한약 치료에 대한 논문 136편을 종합하고 분석하여 비만 한약 치료의 연구 경향성 및 추세를 파악하고 향후 지속적으로 연구 필요성이 있는 한약들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석한 결과, 처방으로는 태음조위탕이 가장 많이 쓰였으며 전체 본초로는 마황, 처방의 형태가 아닌 단미로만 실험한 연구에서 가장 많이 사용한 본초는 인삼이었다.

2006년에 발표된 연구6)에 따르면 비만 치료를 위하여 주로 사상의학 기반의 태음인 처방이 가장 많이 쓰였고, 단미 약재에서는 마황이 가장 많이 쓰이며 한약을 구성하는 단미의 형태로 가장 많이 쓰인 것은 의이인, 당귀 등이고 이 경우 마황은 7번째로 단일로 한약재를 쓰는 경우의 빈도수와 차이가 있었다. 2010년에는 2006년 이후 한약 뿐 아니라 한의학계 전체의 연구 동향을 분석한 기존 논문7)이 있었으며, 임상연구, 실험연구, 문헌연구, 증례보고 중 임상연구가 가장 많았다는 연구 결과를 보고하였다. 2013년에는 대한비만학회지를 중심으로 한 비만에 대한 국내 의학계의 최근 연구 동향을 분석한 논문9)이 있었으며, 연구의 방법별 및 임상연구 대상자별 분류 등 주로 연구의 유형에 따라 분석하여 임상연구 논문이 가장 많았다는 결론이 있었다. 2016년에는 성인비만의 한약치료 임상연구에 대한 논문8)이 있었는데, 13편의 무작위 대조군 임상연구를 고찰한 결과 한약을 사용한 비만치료가 위약에 비해서 체중감량 및 체질량 지수, 복부둘레 등 비만관련 지표 개선에 효과가 있다는 결론을 얻었으며 특히 태음조위탕과 방풍통성산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의 결과와 유사한 경향이 확인되었다.

사상의학 관점에서 태음인은 상대적으로 다른 체질에 비하여 체격이 크고 기육이 풍부한 편으로 呼散之氣는 부족하고 吸聚之氣는 크다. 기존 연구에서 비만의 형태학적 특징이 이러한 사상의학에서 태음인의 체질적 특성과 유사한 점이 있어 태음인 처방이 많이 활용되고 있다. 실제로 태음인과 비만과의 연관성을 다룬 다양한 연구가 있으며 비만 인구 중 태음인이 많은 비율을 차지한다는 연구와10), 임상적으로 비만인의 약 70%가 태음인이라는 연구 결과11)도 존재했다. 이에 따라 2006년 선행된 기존 연구에서도 태음인 처방이 가장 많이 쓰이고 있었으며, 그 중에서도 태음조위탕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2019년 진행된 태음인 비만에 대한 임상 연구 동향을 분석한 선행 연구에서도 전체 분석 연구 14편 중 태음조위탕이 7편으로 가장 많이 사용한다는 결과12)가 있었다. 이러한 흐름을 참고하여 최근 항비만에 사용되는 한약 치료 경향에서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 분석해본 결과, 마찬가지로 태음조위탕이 가장 다빈용 처방이였다. 이는 태음조위탕의 약물 구성이 타 처방에 비해 薏苡仁, 蘿葍子, 馬黃을 위주로 祛痰, 祛濕 및 消食의 작용이 강해 체내의 불필요한 濕濁을 제거하는 효과가 뛰어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13). 최근 연구들에서도 단순한 체중 감량보다는 근본적인 치료를 추구하는 방향으로 연구 방향이 바뀌며 식욕억제와 관련된 신경조절전달물질의 신호전달체계 기전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어14), 태음조위탕은 이전부터 최근까지 꾸준히 비만 연구에 있어 우선적으로 고려되는 처방이라고 볼 수 있다.

한약을 통한 비만 치료에서 마황이 전통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연구된 약재이다. 마황의 항비만 효과의 핵심 성분으로는 ephedrine-type alkaloids로 교감신경계 흥분 작용이 있어 식욕을 억제하고, 콜레스테롤 흡수를 저해하며, 지방조직에서 에너지 소비를 증가시켜 체지방 분해를 가속화시킨다15). 2006년 발표된 선행 연구에서도 처방과 별개로 단일 약재로 비만 치료에 가장 많이 쓰이는 약재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전체 형태에서 마황이 가장 다빈도로 사용되지만 처방에 속하지 않은 단미의 형태로는 인삼이나 울금이 더 많이 연구된 것을 알 수 있었다16). 항비만 효과에 대한 연구는 이미 많이 입증되었으며, 마황 및 ephedrine의 안전성과 부작용에 관련한 연구 또한 많이 진행되고 있다. 가장 빈번하게 언급되는 ephedrine 부작용인 심혈관계 부작용의 경우에도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된 바 없으며, 건강인이 적정량의 마황 및 ephedrine을 복용하는 것은 비교적 안전성이 확보되었으나 개개인의 특성을 면밀히 확인하여 처방하여야 한다는 것과 2, 3일 및 2주 정도 시점이 이상반응의 발현과 약화에 중요한 시기이므로 임상 치료 시에 고려되어야 한다는 고찰을 한 2017년 Jo 등의 연구가 있었으므로 비만 치료 시에도 반드시 참고하여 처방하여야 할 것이다17).

인삼은 한의학에서 전통적으로 元氣가 손상된 것을 치료한다18)고 알려져 왔으며, 암19), 뇌졸중20) 등의 질환에 대하여 치료 효과가 있을 뿐 아니라 항비만 효과도 꾸준히 연구21)되어 온 본초이다. 인삼의 항비만 기전은 인삼의 주요 생리활성 성분인 ginsenosides에 있으며, 췌장의 리파아제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지방의 장내 흡수를 감소하고22), 지방과 단백질의 소화를 자극하는 위장관계의 펩티드 호르몬인 콜레시스토키닌의 시상 하부에서의 발현을 억제하는23) 등의 효과가 알려져 있다. 2016년에 발표된 Shon과 Kim의 연구24)에서는 인삼의 다당체가 지방분화를 개시하고 유도하는 전사인자들의 발현을 억제시켜 adipogenesis를 억제한다는 것을 확인하여 인삼의 항비만 효과의 기전을 제시하였다. 또한 2018년의 Park 등의 연구에서는 인삼이 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low density cholesterol 농도는 감소시켰으나 high density cholesterol 농도는 증가시키는 효과도 보고되었다25). 이렇게 지속적으로 인삼의 항비만 효과는 연구되어 왔으며, 본 연구에서도 처방의 형태가 아닌 단미의 형태로 가장 많이 연구된 것을 보고하였으나 최근 발표된 연구들은 대부분 동물이나 세포 실험 연구로 사람 대상의 임상 실험이 많이 진행되어야 임상에서도 활용할 수 있으므로 비만 치료 시에 참고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의 빈용 본초 중 마황, 인삼 등 기타 본초와 달리 길경은 주로 호흡기 계통의 질환에 널리 사용되던 본초로26), 호흡기 질환에 비하여 비만과 관련된 연구는 상대적으로 많지 않다. 하지만 본 논문에서 밝힌 바와 같이 최근 들어 길경의 항비만 효과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는데, 현대 약리연구에서 비만 흰쥐를 이용한 길경 추출물의 항비만 효과가 검증된 바도 있다27). 또한 길경을 발효시켰을 때 지방을 분해하는 lipase의 저해 효과를 증진시켜 장 내에서의 지방 분해가 억제되고 체외로 지방이 배출되는 효과가 증대될 수 있다는 실험 연구도 존재한다28). 이처럼 최근 들어 이전과 달리 비만과 관련하여 길경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는 이유는 길경의 약력과 연관할 수 있다. 길경의 약력은 升浮上行하여 宣肺하는 효능으로 上焦의 질환을 치료하면서 肺氣를 소통시켜 下焦의 병변도 치료할 수 있어29) 祛痰, 排膿의 효능이 체 내의 비정상적인 대사 산물을 배출하는 데에도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비만 역시 체 내에 과도한 지방 및 대사 산물이 비정상적으로 축적되는 병리 과정으로 유발하므로 길경의 효능이 항비만 효과를 보여줄 수 있는 것으로 보이며 이와 관련하여 향후 임상에의 활용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추가적인 연구가 더 필요할 것이다.

두 번째로 빈용된 본초로 제시된 감초는 대부분의 한의학 처방에 높은 빈도로 포함되는 약물로, 본 연구에서 단순 빈도만을 계산했기 때문에 고빈도의 결과가 나온 것으로 보인다. 물론 감초의 glycyrrhizin 성분이 항비만 효과를 가진다는 연구 결과30)도 존재하나, 단일 성분으로보다 처방 구성에서 계산된 빈도가 높은 것으로 보아 비만 치료에 특이적으로 사용된다고 보기는 어렵다. 이처럼 처방 특성 상 포함되는 빈도가 높은 본초가 있을 수 있으므로 단순 빈도보다는 단미 위주로 연구되고 있는 본초들이 향후 비만 치료의 핵심 본초로 생각된다.

기존 연구들은 사상의학적으로 태음인 위주, 본초학으로는 마황 위주로 연구되었는데 지금은 다양한 본초와 한약에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아 비만 치료에 있어서 좀 더 다양한 관점에서 처방 및 본초를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이고 있다. 또한 기존 연구에서는 보이지 않았던 어혈 관련 처방들도 비만 치료에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밝힌 바, 비만 치료에 있어서의 다양한 관점과 한의학적 변증의 중요성이 보다 높아질 것으로 생각된다. 서각지황탕, 통규활혈탕 등의 어혈 관련 처방들이 지방전구세포의 증식, 중성지방 및 leptin의 생성 억제를 하는 등의 연구 결과31)가 있으며 이는 인체의 생리적인 기능의 정체와 연관이 있어 발생하는 어혈의 기전이 비만의 기전과 상통하는 부분이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32). 하지만 아직 충분한 연구가 이루어지지는 않았으므로 실제로 임상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변증과 관련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단미로만 가장 많이 연구된 인삼은 최근 주로 한방비만학회에서 연구되어 연구자 기반의 비뚤림이 있고 실제로 임상에서 활용되는 빈도와는 차이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렇듯 실제 임상에 적용할 때는 특정 약물이 특정 연구자들에서 연구되는 경우 나타날 수 있는 오류를 고려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국내에서 연구된 논문만을 검색하여 국외 연구의 경향성에 대해 연구하지 못한 한계점도 존재한다. 그러나 본 연구는 기존 연구들보다 검색 범위를 넓게 확장시켰으며, 해외 학술지 논문들도 다양하게 포함시켜 고찰함으로써 한국에서 비만의 한약 치료에 대한 연구의 설계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결론»»»

최근 5년간 비만 치료에서 한약을 사용한 논문을 정리, 분석하여 향후 비만의 한약 연구에 도움이 될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 태음조위탕은 이전 연구와 마찬가지로 비만에서 가장 많이 사용된 한약이었으며, 이는 사상의학적으로 태음인이 비만하기 쉬운 특징을 가지고 있어 이에 따른 약물 구성이 비만에 효과적인 작용을 하기 때문으로 보인다.

  • 모든 형태의 연구를 포함해서 비만 치료에 가장 많이 쓰인 본초는 이전 연구와 동일하게 마황이었으며, ephedrine의 안정성을 고려하며 사용해야 할 것이다.

  • 처방에 포함된 형태가 아닌 단미로만 가장 많이 실험한 본초는 인삼이었고, 연구자 기반의 비뚤림이 있을 수 있어 향후 다양한 분야에서의 연구가 추가적으로 필요하다.

  • 비만 치료에 사용되는 한약에 대한 연구는 최근 5년간 지속적으로 보고되고 있고 조금씩 감소하는 경향이 있으나 유의미한 수치는 아닌 것으로 보인다.

  • 비만 치료에 한약을 사용한 논문은 국내에서는 한방비만학회지, 해외에서는 Evidence-base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에 가장 많이 발표되었다.

Appendix
JKMR-30-089_Appendix.pdf
References
  1. Van Gaal LF, Maggioni AP. Overweight, obesity, and outcomes: fat mass and beyond. Lancet. 2014;383(9921):935-6.
    Pubmed CrossRef
  2. Lindsay M, Stefanie V, An P, Craig JM, Chelsea W, Fumiaki I. The obesity transition: stages of the global epidemic. The Lancet Diabetes & Endocrinology. 2019;7(3):231-40.
    Pubmed KoreaMed CrossRef
  3. Jensen MD, Ryan DH, Apovian CM, Ard JD, Comuzzie AG, Donato KA. 2013 AHA/ACC/TOS guideline for the management of overweight and obesity in adults: a report of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American Heart Association Task Force on Practice Guidelines and the Obesity Society. Circulation. 2014;129(25):102-38.
    Pubmed KoreaMed CrossRef
  4. James WP, Caterson ID, Coutinho W, Finer N, Van Gaal LF, Maggioni AP. Effect of sibutramine on cardiovascular outcomes in overweight and obese subjects. N Engl J Med. 2013;363(10):905-17.
    Pubmed CrossRef
  5. Chang SH, Carolyn S, Song JH, Esteban V, Christopher J, Graham C. The effectiveness and risks of bariatric surgery an updated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03-2012. JAMA Surg. 2014;149(3):275-87.
    Pubmed KoreaMed CrossRef
  6. Hang MJ, Shin HD, Song MY. Review of literature on herbal medicines for the treatment of obesity in Korea-mainly papers since 2000. J Oriental Rehab Med. 2006;16(3):65-81.
  7. Park B, Song Y, Lim H. An analysis of domestic oriental medicine study tendency on obesity-focused on domestic academic journal since 2006. J Soc Korean Med Obes Res. 2010;10(2):1-16.
  8. Han K, Lee M, Kim H. Systematic review on herbal treatment for obesity in adults. J Oriental Rehab Med. 2016;26(4):23-35.
    CrossRef
  9. Kim D, Shin W, Jeong Y, Im H, Park W, Cha Y. An analysis of domestic medicine study tendency on obesity-focused on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J Korean Med Obes Res. 2013;13(1):1-9.
  10. Moon SH, Sin SH, Kim HJ, Kim JY. A relation-ship of the obesity and body composition analysis by sasang constitution. J Korean Med Rehabil. 2002;12(4):1-10.
  11. Kim DR, Baek TH. Clinical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asang constitution and obesity. J Sasang Constitut Med. 1996;8(1):319-35.
  12. Hur HS, Kang OS. A review study of treatments for Taeeumin obeisity. J Sasang Constitut Med. 2019;31(4):28-40.
  13. Han JS, Shin YO, Oh JK, Keum DH. Anorexigenic effect of Taeyeumjowui-tang (Taiyintiaowei-tang) in obese Zucker rat. J Oriental Rehab Med. 2005;15(4):131-45.
  14. Park KM, Song YK, Lim HH. Review on the research relative to Taeeumjowui-Tang (Taiyintiaowei-tang). J Soc Korean Med Obes Res. 2009;9(1):23-36.
  15. Soni MG, Carabin IG, Burdock GA. Safety of ephedra: lessons learned. Toxicol Lett. 2004;150(1):97-110.
    Pubmed CrossRef
  16. Jang IS, Hwang EH. The need for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in usage of mahuang in weight loss. J Soc Korean Med Obes Res. 2007;7(1):23-9.
  17. Jo GW, Ok JM, Kim SY, Lim YW. Review on the efficacy and safety of Mahuang and ephedrine in the treatment of obesity -focused on RCT-. J Korean Med. 2017;38(3):170-84.
    CrossRef
  18. Nam KY, Park JD. Usage and dosage of Ginseng Radix (panax ginseng C.A. Meyer) based upon traditional and recent scientific clinical applications. Journal of Ginseng Research. 2000;24(2):99-105.
  19. Dai D, Zhang CF, Williams S, Yuan CS, Wang CZ. Ginseng on cancer: potential role in modulating inflammation-mediated angiogenesis. American Journal of Chinese Medicine. 2017;45(1):13-22.
    Pubmed CrossRef
  20. Rastogi V, Santiago-Moreno J, Doré S. Ginseng: a promising neuroprotective strategy in stroke. Front Cell Neurosci. 2014;8:457.
    Pubmed KoreaMed CrossRef
  21. Han LK, Kimura Y, Kawashima M, Takaku T, Taniyama T, Hayashi T, Zheng Y-N, Okuda H. Anti-obesity effects in rodents of dietary teasaponin, a lipase inhibitor. International Journal of Obesity. 2001;25(10):1459-64.
    Pubmed CrossRef
  22. Karu N, Reifen R, Kerem Z. Weight gain reduction in mice fed Panax ginseng saponin, a pancreatic lipase inhibitor.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od Chemistry. 2007;55(8):2824-8.
    Pubmed CrossRef
  23. Kim JH, Hahm DH, Yang DC, Kim JH, Lee HJ, Shim I. Effect of crude saponin of Korean red ginseng on highfat diet-induced obesity in the rat. Journal of Pharmacological Sciences. 2005;97(1):124-31.
    Pubmed CrossRef
  24. Shon MS, Kim GN. Anti-obese function of polysaccharides derived from Korean Ginseng (Panax ginseng C.A. Meyer) and development of functional food material in preventing obesity. Kor J Herbol. 2016;31(4):71-7.
    CrossRef
  25. Park HS, Cho JH, Kim KW, Chung WS, Song MY. Effects of Panax Ginseng on obesity in animal model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Evidence-Base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2018:e2719794.
    Pubmed KoreaMed CrossRef
  26. Kim YH, Kim JJ, Seo BI. A philological study on poisoning and side effects of Platycodi Radix. The Journal of Applied Oriental Medicine. 2016;16(1):1-11.
  27. Byun BH. Antiobesity effects of Platycodon grandiflorum extract on body weight changes and serum lipid profiles of obese rats induced high fat diet. Korean J Life Sci. 2003;13(6):896-902.
    CrossRef
  28. Shin NR, Lim SK, Kim HJ. Effect of Platycodon grandiflorum fermentation with salt on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microbial change and anti-obesity activity. J Korean Med Obes Res. 2018;18(2):64-73.
    CrossRef
  29. Shin CG. Catechetical herbology. Seoul:Sungbosa. 1992:147-8.
  30. Martel J, Ojcius DM, Chang CJ, Lin CS, Lu CC, Ko YF, Tseng SF, Lai HC, Young JD. Anti-obesogenic and antidiabetic effects of plants and mushrooms. Nat Rev Endocrinol. 2017;13(3):149-60.
    Pubmed CrossRef
  31. Lee HY, Shim EH, Lee MS, Lee JA. Anti-adipogenesis effects of 3 herbal formula on blood stasis. Kor J Herbol. 2016;31(6):29-35.
    CrossRef
  32. Li Y, Chen K, Shi Z. Effect of xuefu zhuyu pill on blood stasis syndrome and risk factor of atherosclerosis. Zhongguo Zhong Xi Yi Jie He Za Zhi. 1998;18(2):71-3.
    Pubmed


October 2024, 34 (4)

Cited By Articles

  • Crossref TDM
  • CrossMark
  • orc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