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람양성, 포자생성, 편성 혐기성균인
CDI에 대한 치료로는 metronidazole, vancomycin, fidaxomicin 등의 항생제 요법, 대변 세균총 이식(fecal microbial transplantation, FMT) 등이 고려되고 있다7). 하지만 항생제와 관련한 새로운 타입의 내성 균주 출현과
CDI에 대한 천연약물치료 관련 연구로 한의학적 원리의 복방으로 삼령백출산, QPYF 등이, 단일 약물로는 황련추출물인 황련수, 흑종초, 몰약, 마누카 꿀, 버진 코코넛 오일, 석류추출물, 당귀, 홉 등이 있었으나 임상적으로 다용되는 한약재 관련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10-16). 이에 천연 한약재를 통한 CDI 치료의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1) 생약 추출물 및 한약재
77종의 생약 추출물은 한국식물추출물은행(Cheongju, Korea)에서 분양받았다. 식물 추출물의 항균성은 일반적으로 에탄올 추출물이 증류수 추출물보다 증식억제 효과가 높다는 점을 참고하여 95.0% 에탄올로 추출한 약물을 우선 구입하되 증류수로 추출한 약물이 분양 가능한 경우 함께 구비하였다17-19). 후보 한약재로 선정된 산사, 산수유, 오매, 황련은 동국대학교 일산한방병원에서 구입 후 사용하였다.
2) 실험 균주 및 배지
실험에 사용된 균주는 생물자원센터(Jeongeup, Korea)에서 분양받은
1) Paper disc agar diffusion method
Vancomycin 및 한약재의 항균 활성은 paper disc agar diffusion method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Vancomycin의 경우 CDI에 metronidazole과 함께 가장 많이 사용되는 항생제로 양성대조군으로 설정하였다20).
2) 최종 후보 약물의 30% 에탄올 추출
동국대학교 일산한방병원에서 구입한 산사, 산수유, 오매, 황련 각 4 g을 분쇄하여 10배량의 30% 에탄올을 첨가한 후 60°C water bath에서 sonication하였다. 이후 3,000 rpm에서 1시간가량 원심분리하는 과정을 3회 반복한 후 상층액을 회수하고, 40°C에서 농축하여 3일간 동결건조시켰다.
3)
(1) Genomic DNA 추출
RCM agar plate에서 배양된
(2)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PCR 및 primer는
Table Ⅰ. Sequences of the Nested Polymerase Chain Reaction Primers.
Division | Primer | Sequence (5'-3') |
---|---|---|
Toxin A | CD TcdA (NK 1)-F | GGACATGGTAAAGATGAATTC |
CD TcdA (NK 2)-R | CCCAATAGAAGATTCAATATTAAGCTT | |
Toxin B | CD TcdB 3-R | GCTTCT TCA ATC CTT TCC TC |
CD TcdB 1-F | GTGGCCCTGAAGCATATG | |
CD TcdB 2-R | TCC TCT CTC TGA ACT TCT TGC |
4) 최소저해농도(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측정
최종 후보 약물의 MIC 측정을 위해 Broth microdilution method를 응용하였다22). 먼저
본 연구를 위하여
Table Ⅱ. List of Herbal Extracts for Antimicrobial Test.
Pharmaceutical name | Extract | Pharmaceutical name | Extract |
---|---|---|---|
95.0% EtOH | 95.0% EtOH | ||
95.0% EtOH | DW | ||
95.0% EtOH | 95.0% EtOH | ||
95.0% EtOH | DW | ||
DW | 95.0% EtOH | ||
95.0% EtOH | DW | ||
95.0% EtOH | 95.0% EtOH | ||
95.0% EtOH | 95.0% EtOH | ||
95.0% EtOH | 95.0% EtOH | ||
95.0% EtOH | DW | ||
95.0% EtOH | 95.0% EtOH | ||
95.0% EtOH | 95.0% EtOH | ||
95.0% EtOH | DW | ||
95.0% EtOH | DW | ||
DW | 95.0% EtOH | ||
95.0% EtOH | DW | ||
DW | 95.0% EtOH | ||
DW | DW | ||
95.0% EtOH | DW | ||
95.0% EtOH | 95.0% EtOH | ||
DW | DW | ||
95.0% EtOH | DW | ||
95.0% EtOH | DW | ||
DW | 95.0% EtOH | ||
95.0% EtOH | DW | ||
DW | 95.0% EtOH | ||
95.0% EtOH | DW | ||
95.0% EtOH | 95.0% EtOH | ||
95.0% EtOH | DW | ||
DW | DW | ||
95.0% EtOH | DW | ||
95.0% EtOH | 95.0% EtOH | ||
DW | 95.0% EtOH | ||
95.0% EtOH | DW | ||
DW | DW | ||
95.0% EtOH | 95.0% EtOH | ||
DW | DW | ||
95.0% EtOH | 95.0% EtOH | ||
DW | DW | ||
95.0% EtOH | DW | ||
DW | 95.0% EtOH | ||
95.0% EtOH | 95.0% EtOH | ||
DW | 95.0% EtOH | ||
95.0% EtOH | DW | ||
DW | 95.0% EtOH | ||
95.0% EtOH | DW | ||
DW | 95.0% EtOH | ||
95.0% EtOH | DW | ||
DW | 95.0% EtOH | ||
95.0% EtOH | DW | ||
DW | 95.0% EtOH | ||
95.0% EtOH | DW | ||
95.0% EtOH | 95.0% EtOH | ||
95.0% EtOH | DW | ||
95.0% EtOH | DW |
DW: distilled water, 95.0% EtOH: 95% concentration ethylalcohol..
Table Ⅲ. Antimicrobial Effect of Vancomycin on
Vancomycin concentration (mg/mL) | Size of clear zone (mm) |
||
---|---|---|---|
2.5 | 25 | ++++ | |
1.25 | 23 | ++++ | |
0.63 | 22 | ++++ | |
0.32 | 20 | +++ | |
0.16 | 18.5 | +++ | |
0.08 | 1.5 | ++ | |
0.04 | 1.2 | + |
+: 8~12 mm, ++: 12~16 mm, +++: 16~20 mm, ++++: larger than 20 mm..
Table Ⅳ. Antimicrobial Effect of Herbal Extracts.
Pharmaceutical name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Vancomycin (0.65 mg/mL) | ++++ | + | +++ | - |
+: 8~12 mm, ++: 12~16 mm, +++: 16~20 mm, ++++: larger than 20 mm..
생육저지환이 + (8~12 mm) 이상으로
추출법에 따라 항균력에 있어 차이를 보이는 약물이 확인되었다. 대황, 목단피, 통초, 황련은 95% 에탄올 추출과 증류수 추출 두가지 방법으로 얻어졌는데 대황의 경우
산사, 산수유, 오매, 황련을 30% 에탄올 추출하여 동일한 시험을 반복한 결과, 산사, 산수유, 오매는
Table Ⅴ. Antimicrobial Effect of 30% Ethanol Herbal Extracts.
Pharmaceutical name | Extract | ||||
---|---|---|---|---|---|
30% EtOH | +++ | +++ | - | - | |
30% EtOH | ++++ | +++ | - | - | |
30% EtOH | ++++ | ++++ | - | - | |
30% EtOH | ++ | ++ | ++ | - | |
Vancomycin (2.5 mg/mL) | ++++ | +++ | ++++ | - | |
Vancomycin (1.25 mg/mL) | ++++ | +++ | ++++ | - | |
Vancomycin (0.63 mg/mL) | ++++ | ++ | +++ | - |
+: 8~12 mm, ++: 12~16 mm, +++: 16~20 mm, ++++: larger than 20 mm, 30% EtOH: 30% concentration ethylalcohol..
최종 후보로 산사, 산수유, 오매를 선정하여 MIC test를 시행하였다. 시험 결과, 각각의 MIC는 산사는 10 mg/mL, 산수유는 20 mg/mL, 오매는 5 mg/mL로 확인되었다(Table VI).
Table Ⅵ. MIC of 30% Ethanol Herbal Extract in
Herbal extract | Growth of various concentration (mg/mL) | ||||||||||||
---|---|---|---|---|---|---|---|---|---|---|---|---|---|
20 | 10 | 5 | 2.5 | 1.25 | 0.63 | 0.63 | 0.31 | 0.15 | 0.08 | 0.04 | 0 | MIC | |
- | + | + | + | + | + | + | + | + | + | + | 10 | ||
- | + | + | + | + | + | + | + | + | + | + | + | 20 | |
- | - | - | + | + | + | + | + | + | + | + | + | 5 |
MIC: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 no growth, +: growth..
CDI 치료에 항생제가 적극적으로 이용됨에 따라 내성을 가진 균주가 출현하게 되었다. 1978년부터 1983년까지의 clindamycin, 1983년부터 2003년까지 cephalosporin계와 fluoroquinolone계 항생제의 사용이 내성 균주의 출현과 연관되어 있다고 여겨지고 있으며, 2003년부터 2006년 사이에 변종
한편 장내 미생물의 불균형으로 인하여 CDI가 발생하는 것과 관련하여 probiotics는 아직 논쟁의 여지가 있으나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2). Probiotics는 장내 미생물 불균형을 회복시키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이번 연구에서 77종의 후보 약물 중 25종이
‘항생제’는 숙주에게 위해를 최소화하면서 세균의 성장을 억제하거나 죽이는 화합물을 의미한다. 대부분의 항균제가 세균이나 진균 자원에 의존하고 있으나, 이 외에도 식물에서 기원한 phenolics, terpenoids, alkaloids, lectins, polyacetylenes 등의 화합물이 항균 효과를 보인다고 알려져 있다28,29). 황련은 중국에서 식물성 항균물질로 각광받고 있는 대표적인 淸熱약물로써30), berberine, jatrorrhizine, palmatine, coptisine 등 항균 효과를 가진 alkaloids를 포함하고 있으며
산사는 한의학의 대표적인 消食藥으로 食積停滯에 다용되며, 驅蟲止痢 작용이 있어 腹痛泄瀉을 치료하는데 사용되기도 한다33). 산사의 주요 성분으로는 crataegolic acid, malic acid, citric acid, vitamin C, tannin, saponin이 있으며, 이 중 tannin과 saponin이 항균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9). 산사가
한의학적 약물치료로 한약은 단미로써 사용되기도 하지만 일반적으로 두가지 이상의 약재를 조합하여 복방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며 항균 작용과 관련하여 단미약재보다 약물을 조합하여 사용하였을 때 그 효과가 증강될 수 있다41,42). 본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산사, 산수유, 오매는 CDI 표준 치료 항생제인 vancomycin이 유익균
Paper disc agar diffusion method를 통해 한약재의
77종 한약재의
산사, 산수유, 오매, 통초, 황련이
통초의 경우 유익균인
황련의 경우 유익균인
30% 에탄올 추출 산사, 산수유, 오매는 유익균
30% 에탄올 추출 산사, 산수유, 오매의
본 연구 결과
이상의 결과로 보아 산사, 산수유, 오매가 유익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