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for




 

J Korean Med Rehabi 2022 Oct; 32(4): 61-72  https://doi.org/10.18325/jkmr.2022.32.4.61
Analysis of Chuna Manual Therapy Usage Status after the Application of Chuna Manual Therapy Health Insurance (2019-2021)
Published online October 31, 2022
Copyright © 2022 The Society of Korean Medicine Rehabilitation.

Jung-Sik Park, K.M.D., Ph.D., Hyung-Ho Lim, K.M.D., Ph.D.

College of Korean Medicine, Gachon University
Correspondence to: Hyung-Ho Lim, College of Korean Medicine, Gachon University, 1342 Seongnam-daero, Sujeong-gu, Seongnam 13120, Korea
TEL (031) 750-8599
FAX (031) 750-5416
E-mail omdlimhh@naver.com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Gachon University research fund of 2020 (GCU-2020-02110001).
Received: September 19, 2022; Accepted: September 30, 2022
Abstract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una manual therapy usage status after the application of Chuna manual therapy health insurance.
Methods This study analyzed the health insurance data (2019-2021). From April 2019 to December 2021, monthly data were collected by simple Chuna, complex Chuna (own expense 50%), complex Chuna (own expense 80%), and special (dislocation) Chuna.
Results The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hospital-level medical institutions, simple Chuna and complex Chuna (own expense 50%) occupied a similar proportion. In clinic-level medical institutions, simple Chuna occupies the largest proportion. Second, the amount of use decreased in all medical institutions after September, which is thought to be the result of restrictions on Chuna manual therapy health insurance.
Conclusion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duct research by receiving more detailed data onr Chuna manual therapy health insurance. Through this, an improved policy of Chuna manual therapy health insurance should be discussed.
Keywords : Korean traditional medicine, Chuna manual therapy, Health insurance
서론»»»

추나요법은 2019년 3월 26일 추나요법 건강보험 적용을 위한 국민건강보험법 및 의료급여법 시행령의 일부개정령 안이 국무회의에서 의결됨에 따라 2019년 4월 8일부터 추나요법에 대해 건강보험 급여가 시작되었다1). 추나요법은 한방물리요법 행위분류의 의료기기 미사용 행위에 해당되었으며 크게 관절의 생리학적 운동범위 내의 단순추나, 관절의 생리학적 운동범위를 넘는 복잡추나, 탈구 관절을 복원교정하는 특수(탈구)추나로 분류되었다2).

추나요법 급여화에 대한 본 사업이 시행되기 전 논쟁3,4)이 있었으며 2019년 4월 본 사업이 시행된 이후에도 논쟁5)이 있었으나 추나요법에 건강보험 급여가 적용되면서 2019년 4월부터 6개월 동안 실시된 추나급여 행위 횟수는 약 203만회6)로, 국민들에게 추나요법이 더욱 많이 시행될 수 있었다. 또한 Kim 등7)이 발표한 ‘추나요법의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적용에 따른 한방병원에 내원하는 환자군에 대한 통계적 고찰 결과’ 논문에서 정책변화에 따라 추나요법을 받은 환자수가 증가하는데 영향을 미쳤다는 내용을 발표하였다. 다만 2019년 정책 적용 이후 Kim 등7)의 연구는 시행 초기 몇 개월간 단일 병원에서의 데이터로 미흡한 면이 있었으며 이에 본 연구에서는 추나요법 건강보험 급여 정책 시행 이후 추나요법 이용 현황의 전체적인 추이를 살펴보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이를 위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보건의료빅데이터개방시스템(Healthcare Bigdata Hub, https://opendata.hira.or.kr)의 통계자료 중 진료행위(검사/수술 등) 파트에서 각 추나행위별 자료를 수집하였다. 보건의료빅데이터개방시스템에서 진료년월별 자료는 최근 8개월 전까지만 제공되므로, 추나요법 건강보험 급여 정책이 적용된 2019년 4월부터 2021년 12월까지 약 3년간의 월별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에 대한 정리 및 분석을 바탕으로 추나요법 건강보험 급여 이용 현황과 경향성을 알아보고 급여정책에 도움을 주고자 연구하였다.

대상 및 방법»»»

연구 자료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보건의료빅데이터개방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의료통계정보 중 진료행위에서 검색하였다(http://opendata.hira.or.kr/op/opc/olapDiagBhvInfo.do). 진료행위코드조회 중 ‘추나’ 검색을 통해 나온 단순추나(행위코드: 40710), 복잡추나(본인부담 50%)(행위코드: 40720), 복잡추나(본인부담 80%)(행위코드: 40721), 특수추나(탈구)(행위코드: 40730)의 행위별 자료를 ‘진료년월’ 기준으로 2019년 4월부터 2021년 12월까지 수집하여 병의원급에 따른 환자수, 사용횟수, 진료금액 3가지 항목에 대해 조사하였다.

결과»»»

1. 월별 환자수

1) 병원급 기관 월별 환자수 변화(Table I)

단순추나는 지난 3년간 월별 그래프가 매우 비슷한 경향을 나타냈다. 2020년 1월부터 3월까지 감소한 시점을 제외하고 매년 유사한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2020년 1월부터 3월까지의 감소는 corona virus disease (COVID)-19의 영향으로 판단되며 COVID-19 대유행으로 인한 사회적 분위기 속에서도 시행 첫 해의 환자수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매년 대체적으로 8월까지 증가하고 9월 이후에는 감소 추세를 보이는데 이는 환자 1인당 연간 급여 횟수 20회 제한의 영향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Fig. 1). 복잡추나는 시행 첫 해에 비해 2020년, 2021년 모두 환자수가 감소되었다. 2020년 1월부터 3월까지 COVID- 19의 영향으로 인한 감소와 급여 횟수 제한으로 인한 9월 이후 감소 추세는 단순추나의 케이스와 비슷한 경향을 보이고 있다(Figs. 2, 3). 다만 단순추나 행위와는 다르게 시행 첫 해의 환자수 를 유지하지 못하고 있으며 특히 복잡추나(본인부담 50%)는 매월 2,000여 명 정도 감소세가 지속되었다. 특수추나의 경우 환자수 표본이 너무 적고 월별 변동이 매우 불규칙적이다. 2019년에 비해 2020년 표본 수가 증가하기는 하였으나 미미한 수준이며 2021년 동안 총 6건만 시행되었다.

Table I. Number of Patients by Month (Hospital-Level)

Month Simple Chuna (code: 40710) Complex Chuna (own 50%) (code: 40720) Complex Chuna (own 80%) (code: 40721) Special Chuna (code: 40730)
2019. 4 8,402 7,056 3,120 5
2019. 5 10,152 8,236 3,774 1
2019. 6 9,615 8,010 3,812 1
2019. 7 10,727 8,148 4,636 1
2019. 8 10,867 7,900 4,968 1
2019. 9 9,003 6,752 4,016 1
2019. 10 8,751 6,607 4,133 1
2019. 11 8,289 6,211 3,860 1
2019. 12 8,366 5,994 3,732 1
2020. 1 8,646 7,477 4,046 2
2020. 2 7,782 6,198 3,413 1
2020. 3 6,906 4,945 2,665 1
2020. 4 7,730 5,383 3,156 -
2020. 5 8,616 5,739 3,594 13
2020. 6 9,165 5,783 3,767 3
2020. 7 10,056 5,860 3,880 5
2020. 8 10,124 5,744 4,142 2
2020. 9 9,292 5,241 3,501 2
2020. 10 9,110 5,020 3,322 3
2020. 11 8,779 4,761 3,144 -
2020. 12 8,658 4,682 3,129 -
2021. 1 9,372 5,938 3,335 -
2021. 2 8,689 5,502 3,128 1
2021. 3 10,219 6,341 3,517 2
2021. 4 9,986 6,076 3,253 -
2021. 5 9,959 6,027 3,356 -
2021. 6 10,130 5,706 3,383 -
2021. 7 11,004 5,839 3,657 -
2021. 8 10,616 5,553 3,667 1
2021. 9 9,497 5,044 3,348 1
2021. 10 9,633 5,064 3,311 1
2021. 11 9,604 4,873 3,218 -
2021. 12 9,426 4,659 3,342 -

Fig. 1. The number of patients (Simple Chuna, hospital-level).
Fig. 2. The number of patients (Complex Chuna (50%), hospital-level).
Fig. 3. The number of patients (Complex Chuna (80%), hospital-level).

2) 의원급 기관 월별 환자수 변화(Table II)

단순추나는 병원급 기관의 데이터와 매우 유사한 양상을 보였다. 2020년 1월부터 3월까지COVID-19의 영향으로 인해 감소되었으나 사회적 거리두기 등의 악재 속에서도 시행 첫 해의 환자수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또한 9월 이후에는 감소 추세도 동일한데 역시 환자 1인당 연간 급여 횟수 20회 제한의 영향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Fig. 4). 복잡추나는 시행 첫 해에 비해 2020년, 2021년 모두 환자수가 감소되었으나 병원급 데이터와는 다르게 감소폭이 10% 이내로 기록되었으며 특히 복잡추나(본인부담 80%)의 경우 2021년도에는 시행 첫 해 수준으로 회복하였다(Figs. 5, 6). 그러나 8월 이후 감소 경향은 동일하게 나타났으며 추나급여 보장 횟수 제한이 치료행위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특수추나의 경우는 역시 환자수 표본이 적고 월별 변동이 불규칙적이며 2021년 월별 20~30명의 환자수를 기록하였다.

Table II. Number of Patients by Month (Clinic-Level)

Month Simple Chuna (code: 40710) Complex Chuna (own 50%) (code: 40720) Complex Chuna (own 80%) (code: 40721) Special Chuna (code: 40730)
2019. 4 87,438 12,522 24,212 61
2019. 5 111,746 13,889 31,072 37
2019. 6 108,571 12,999 30,754 24
2019. 7 120,061 13,664 35,262 19
2019. 8 119,604 13,137 35,467 29
2019. 9 108,989 11,786 31,520 43
2019. 10 111,933 11,913 32,266 30
2019. 11 110,647 11,719 31,238 32
2019. 12 109,480 11,798 30,843 33
2020. 1 109,251 12,202 29,664 33
2020. 2 100,821 11,218 27,580 22
2020. 3 91,895 10,123 24,270 24
2020. 4 102,473 11,108 27,914 18
2020. 5 113,543 12,352 30,815 17
2020. 6 115,606 12,841 31,757 23
2020. 7 117,794 12,945 32,794 19
2020. 8 112,731 12,258 32,265 10
2020. 9 106,684 11,701 29,651 10
2020. 10 100,943 11,167 28,705 19
2020. 11 103,639 11,153 29,130 20
2020. 12 103,937 10,852 28,725 26
2021. 1 106,664 11,513 29,045 29
2021. 2 104,274 11,511 29,258 28
2021. 3 121,061 13,301 34,374 29
2021. 4 116,642 13,284 33,746 33
2021. 5 112,675 13,134 33,642 21
2021. 6 114,179 12,864 34,155 21
2021. 7 114,245 13,083 35,264 22
2021. 8 109,564 12,186 34,226 22
2021. 9 104,270 11,426 31,729 23
2021. 10 106,238 11,509 32,316 30
2021. 11 105,694 11,327 32,463 28
2021. 12 104,593 11,263 31,754 29

Fig. 4. The number of patients (Simple Chuna, clinic-level).
Fig. 5. The number of patients (Complex Chuna (50%), clinic-level).
Fig. 6. The number of patients (Complex Chuna (80%), clinic-level).

2. 월별 사용횟수

1) 병원급 기관 월별 사용횟수 변화(Table III)

3년간 병원급 의료기관의 추나 급여치료 사용횟수 변화를 보면 2020년 3월까지는 복잡추나(본인부담 50%) 사용횟수가 단순추나보다 많았으나, 그 이후부터 2021년 말까지 단순추나가 추나행위 중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2020년, 2021년 한 해 전체의 경향성을 보면 추나요법 사용횟수에서 복잡추나(본인부담 50%)의 비율은 연말로 갈수록 감소하였으나 복잡추나(본인부담 80%)의 비율은 거의 변화가 없으며, 둘의 구성비를 살펴보았을 때 복잡추나(본인부담률 80%)보다 복잡추나(본인부담 50%)의 총 사용횟수가 2배 이상 많았다(Fig. 7).

Table III. Number of Uses by Month (Hospital-Level, Time)

Month Simple Chuna (code: 40710) Complex Chuna (own 50%) (code: 40720) Complex Chuna (own 80%) (code: 40721) Special Chuna (code: 40730)
2019. 4 19,617 25,049 6,699 5
2019. 5 26,599 32,418 8,983 1
2019. 6 24,942 30,554 9,266 3
2019. 7 28,020 32,119 11,468 1
2019. 8 27,265 29,631 12,469 4
2019. 9 21,267 23,217 8,929 2
2019. 10 21,744 24,555 10,167 1
2019. 11 21,114 23,902 9,820 1
2019. 12 21,606 21,375 8,704 1
2020. 1 24,052 32,998 10,934 7
2020. 2 21,336 24,754 9,112 1
2020. 3 20,085 19,634 7,280 1
2020. 4 21,419 19,991 8,269 -
2020. 5 22,834 21,332 9,231 51
2020. 6 24,172 21,821 9,221 5
2020. 7 27,718 22,491 9,851 20
2020. 8 26,647 21,253 10,172 7
2020. 9 24,327 18,937 8,788 2
2020. 10 23,664 18,412 8,118 6
2020. 11 22,396 17,297 7,623 -
2020. 12 23,341 16,966 8,045 -
2021. 1 28,656 27,043 10,266 -
2021. 2 22,655 20,038 8,149 1
2021. 3 28,625 25,356 9,442 3
2021. 4 27,055 22,595 8,568 -
2021. 5 26,296 21,913 8,704 -
2021. 6 25,898 20,407 8,740 -
2021. 7 30,213 22,811 9,910 -
2021. 8 28,692 21,132 9,800 1
2021. 9 23,542 17,198 8,223 1
2021. 10 24,922 18,445 8,429 1
2021. 11 25,335 18,125 8,588 -
2021. 12 25,236 17,078 8,746 -

Fig. 7. The number of uses by month for 3 years (hospital-level).

2) 의원급 기관 월별 사용횟수 변화(Table IV)

3년간 의원급 의료기관의 추나 급여치료 사용횟수 변화를 보면 병원급 의료기관과는 달리 시행초기부터 단순추나가 복잡추나보다 훨씬 많이 시행되었으며, 복잡추나(본인부담 80%)가 복잡추나(본인부담 50%)보다 많이 시행되었다. 단순추나는 병원급 의료기관의 단순추나 총사용횟수와 비슷한 양상을 보였지만, 2020년 1월에 사용횟수가 증가하지 않았고 3월까지 사용횟수가 감소하다가 이후 다시 증가하였으나 큰 변동없이 박스권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기간 내 전체 추나요법 사용횟수에서 복잡추나(본인부담 50%)의 비율은 월별 변화가 거의 없으며 복잡추나(본인부담 80%)의 총 사용횟수가 복잡추나(본인부담 50%)보다 2배가량 많았다(Fig. 8).

Table IV. Number of Uses by Month (Clinic-Level, Time)

Month Simple Chuna (code: 40710) Complex Chuna (own 50%) (code: 40720) Complex Chuna (own 80%) (code: 40721) Special Chuna (code: 40730)
2019. 4 175,068 31,488 49,925 92
2019. 5 248,465 39,903 73,427 65
2019. 6 235,766 35,240 70,856 43
2019. 7 262,454 37,631 82,101 19
2019. 8 255,627 34,949 80,242 54
2019. 9 221,102 29,131 67,947 65
2019. 10 236,729 31,561 73,672 63
2019. 11 237,350 30,954 72,851 32
2019. 12 239,792 31,758 72,670 64
2020. 1 239,122 33,179 68,059 47
2020. 2 223,571 31,102 64,111 38
2020. 3 210,892 28,903 58,507 24
2020. 4 226,978 30,546 65,815 41
2020. 5 246,690 33,454 72,251 41
2020. 6 252,205 35,200 75,535 45
2020. 7 258,831 35,846 78,060 19
2020. 8 235,806 31,873 72,795 17
2020. 9 231,976 31,548 70,601 18
2020. 10 212,444 29,014 66,146 51
2020. 11 221,159 29,579 69,598 20
2020. 12 233,801 30,914 72,775 78
2021. 1 248,615 33,143 72,817 68
2021. 2 228,378 30,303 68,911 58
2021. 3 275,394 36,935 84,539 29
2021. 4 258,231 36,333 82,275 50
2021. 5 241,810 34,533 78,780 35
2021. 6 242,978 33,395 79,852 35
2021. 7 246,663 34,999 82,845 22
2021. 8 229,452 31,791 78,637 40
2021. 9 211,635 27,575 70,491 37
2021. 10 225,317 29,895 75,471 42
2021. 11 225,191 29,669 77,107 28
2021. 12 230,281 30,128 77,700 47

Fig. 8. The number of uses by month for 3 years (clinic-level).

3. 월별 진료금액

1) 병원급 기관 월별 진료금액 변화(Table V)

병원급의 진료금액은 복잡추나(본인부담 50%), 단순추나, 복잡추나(본인부담 80%), 특수(탈구)추나의 순으로 많았으며, 2020년 3월부터 단순추나가 복잡추나보다 총사용횟수가 많았지만 진료금액은 여전히 복잡추나(본인부담 50%)가 단순추나보다 많게 나타났다. 1회당 평균 진료금액 변화는 추나행위의 종류와 관계없이 평균 2%대의 증가율을 기록하였다(Fig. 9).

Table V. Amount of Treatment by Month (Hospital-Level, 1,000 won)

Month Simple Chuna (code: 40710) Complex Chuna (own 50%) (code: 40720) Complex Chuna (own 80%) (code: 40721) Special Chuna (code: 40730)
2019. 4 439,839 946,700 253,098 276
2019. 5 596,409 1,224,868 339,551 58
2019. 6 559,512 1,154,087 350,229 173
2019. 7 628,239 1,213,386 433,267 58
2019. 8 611,262 1,119,071 471,103 231
2019. 9 476,476 876,799 337,347 116
2019. 10 487,190 927,094 384,064 58
2019. 11 473,223 902,387 370,921 58
2019. 12 485,385 807,735 328,849 60
2020. 1 554,567 1,282,247 424,982 417
2020. 2 492,093 961,636 353,960 60
2020. 3 462,198 763,093 282,766 60
2020. 4 492,976 776,950 321,251 -
2020. 5 525,325 828,775 358,709 3,035
2020. 6 555,629 847,741 358,480 298
2020. 7 636,403 873,539 382,741 1,190
2020. 8 612,186 825,173 395,207 417
2020. 9 559,877 735,598 341,432 119
2020. 10 544,152 714,875 315,140 357
2020. 11 515,033 671,686 295,894 -
2020. 12 537,391 659,319 312,615 -
2021. 1 676,997 1,080,248 409,992 -
2021. 2 535,160 800,615 325,389 61
2021. 3 675,353 1,012,895 377,292 184
2021. 4 638,687 901,890 342,087 -
2021. 5 621,365 874,611 347,668 -
2021. 6 612,006 814,738 349,194 -
2021. 7 713,942 910,420 395,803 -
2021. 8 678,466 844,132 391,433 61
2021. 9 557,252 686,944 328,323 61
2021. 10 589,289 736,768 336,780 61
2021. 11 599,466 723,906 343,029 -
2021. 12 598,744 682,458 349,786 -

Fig. 9. The amount of treatment by month for 3 years (hospital- level).

2) 의원급 기관 월별 진료금액 변화(Tables VI, VII)

의원급에서 진료금액은 단순추나, 복잡추나(본인부담 80%), 복잡추나(본인부담 50%), 특수(탈구)추나 순으로 많았으며, 전체적으로 월 진료금액은 계절적 변동요인 외에는 안정적으로 나타났다. 단순추나와 기타 추나요법의 진료금액 차이가 크며 평균적으로 단순추나의 월 진료금액은 복잡추나(본인부담 50%)의 4.3배, 복잡추나(본인부담 80%)의 2배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1회당 평균 진료금액 변화는 추나행위의 종류와 관계없이 평균 2%대의 증가율을 기록하였다(Fig. 10).

Table VI. Amount of Treatment by Month (Clinic-Level, 1,000 won)

Month Simple Chuna (code: 40710) Complex Chuna (own 50%) (code: 40720) Complex Chuna (own 80%) (code: 40721) Special Chuna (code: 40730)
2019. 4 3,746,703 1,138,066 1,804,443 5,096
2019. 5 5,317,640 1,442,294 2,654,019 3,601
2019. 6 5,045,861 1,273,750 2,561,090 2,382
2019. 7 5,617,040 1,360,172 2,967,540 1,773
2019. 8 5,470,928 1,263,231 2,900,347 2,991
2019. 9 4,732,011 1,052,940 2,455,944 3,601
2019. 10 5,066,457 1,140,772 2,662,910 3,490
2019. 11 5,079,967 1,118,832 2,633,199 3,435
2019. 12 5,132,088 1,147,929 2,626,816 3,545
2020. 1 5,268,540 1,234,305 2,531,933 2,680
2020. 2 4,925,881 1,157,059 2,385,095 2,167
2020. 3 4,646,517 1,075,261 2,176,610 2,966
2020. 4 5,001,011 1,136,378 2,448,475 2,338
2020. 5 5,435,344 1,244,583 2,687,929 2,338
2020. 6 5,556,885 1,309,543 2,810,101 2,566
2020. 7 5,702,923 1,333,572 2,904,032 2,224
2020. 8 5,195,649 1,185,767 2,708,158 969
2020. 9 5,111,280 1,173,676 2,626,536 1,027
2020. 10 4,680,936 1,079,406 2,460,799 2,908
2020. 11 4,872,978 1,100,425 2,589,229 2,623
2020. 12 5,151,638 1,150,145 2,707,484 4,448
2021. 1 5,635,306 1,268,447 2,786,850 3,989
2021. 2 5,176,614 1,159,756 2,637,360 3,402
2021. 3 6,242,376 1,413,576 3,235,466 3,050
2021. 4 5,853,307 1,390,537 3,148,829 2,933
2021. 5 5,481,085 1,321,647 3,015,067 2,053
2021. 6 5,507,615 1,278,093 3,056,096 2,053
2021. 7 5,591,103 1,339,482 3,170,641 1,877
2021. 8 5,200,979 1,216,705 3,009,594 2,346
2021. 9 4,797,118 1,055,350 2,697,789 2,170
2021. 10 5,107,234 1,144,141 2,888,426 2,464
2021. 11 5,104,382 1,135,492 2,951,039 2,874
2021. 12 5,219,983 1,153,171 2,973,876 2,757

Table VII. Average Amount of Treatment per Visit (won)

Year Simple Chuna Complex Chuna (own 50%) Complex Chuna (own 80%) Special Chuna
Hospital -level Clinic -level Hospital -level Clinic -level Hospital -level Clinic -level Hospital -level Clinic -level
2019 22,415 21,401 37,769 36,144 37,779 36,144 57,055 55,394
2020 22,950 21,976 38,735 37,109 38,752 37,102 59,514 56,819
2021 23,577 22,612 39,843 38,135 39,849 38,181 61,142 58,440

Fig. 10. The amount of treatment by month for 3 years (clinic- level).
고찰 및 결론»»»

본 논문에서는 2019년 4월 추나요법이 건강보험 급여화가 된 이후 추나요법 이용 현황에 대해 연구하여 기술하였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보건의료빅데이터개방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의료통계정보 중 진료행위에서 2019년 4월부터 2021년 12월까지 각 추나 행위별 현황자료를 수집하여 병의원급에 따른 환자수, 사용횟수, 진료금액의 추이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기간 동안 전체 건강보험 추나요법 환자수는 총 564만 289명이며, 이용량은 총 1,311만 4,018회, 진료비는 총 3,612억 7천5백만원으로 나타났다. 단순추나가 가장 많이 적용되었으며 전체 환자수 중 69.06%, 사용량 중 65.43%, 진료금액 중 52.71%를 차지하고 있었다.

추나요법 행위별 환 자수에 대한 비율은 병원급 의료기관에서는 단순추나 49.23%, 복잡추나(본인부담 50%) 31.79%, 복잡추나(본인부담 80%) 18.97%, 특수추나 0.01%로 나타났으며 의원급 의료기관에서는 단순추나 71.52%, 복잡추나(본인부담 50%) 7.97%, 복잡추나(본인부담 80%) 20.49%, 특수추나 0.02%로 나타났다.

추나요법 행위별 사용량 분포는 병원급 의료기관에서는 단순추나 43.55%, 복잡추나(본인부담 50%) 40.30%, 복잡추나(본인부담 80%) 16.14%, 특수추나 0.01%로 나타났으며 의원급 의료기관에서는 단순추나 69.06%, 복잡추나(본인부담 50%) 9.53%, 복잡추나(본인부담 80%) 21.39%, 특수추나 0.02%로 나타났다.

추나요법 유형별 진료금액 비율은 병원급 의료기관에서는 단순추나 31.43%, 복잡추나(본인부담 50%) 48.93%, 복잡추나(본인부담 80%) 19.63%, 특수추나 0.01%로 나타났으며 의원급 의료기관에서는 단순추나 56.92%, 복잡추나(본인부담 50%) 13.26%, 복잡추나(본인부담 80%) 29.80%, 특수추나 0.02%로 나타났다.

이상의 데이터를 종합한 결과 병원급 의료기관에서는 환자수 및 사용량에서는 단순추나가 제일 많은 수치를 기록하였으나 진료금액은 복잡추나(본인부담 50%)가 50%에 가까운 비중을 보이고 있으므로 단순추나와 복잡추나(본인부담 50%) 중심으로 진료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의원급 의료기관에서는 환자수, 사용량 및 진료금액에서 모두 단순추나의 비중이 제일 높아 단순추나 위주로 추나보험치료가 시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병의원급에서 모두 3년간 월별 환자수 변동 추이가 매우 유사한 패턴을 보여주고 있는데 대체적으로 겨울과 여름에 사용량이 많고 봄과 가을에는 사용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다만 이러한 변동이 추나환자 발생의 계절적 요인 때문인지, 환자 1인당 연간 급여횟수 20회 제한의 영향에 의한 것인지는 명확하지 않으나 통상적으로 9월부터 12월까지 전반적인 그래프가 음의 기울기를 보이다가 1월부터 우상향으로 전환되는 것을 보아 현 급여보장 횟수 제한의 영향으로 해석된다. 특히 장기간 꾸준한 치료가 필요한 중증도 질환 등에 대해서는 급여 횟수의 제한을 상향 조정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다만 환자 1인당 연간 사용횟수, 진료금액, 질환별 추나사용횟수 등 더욱 상세한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서는 입원과 외래를 통합하여 환자의 주민등록번호를 기준으로 실인원에 대한 상세한 통계자료가 필요한데 현재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는 해당 자료를 공개하지 않아 이번 연구를 통해 유추할 수 있는 결과를 근거 삼아 실인원에 대한 향후 해당 자료 혹은 이에 준하는 자료를 요청, 확보하여 본격적이고 심층적인 연구가 진행되길 희망한다.

또한 2019년 4월 이후 시계열 자료가 짧아 월별 변동 추이에 대한 불명확성이 존재하고, 특히 2020년 1월 20일에 COVID-19 국내 첫 발병 사례가 보고되고 2020년 2월 20일에 첫 사망자가 발생한 이후 대유행을 막기 위해 사회적 거리두기가 시행되었다8,9). 이후 2022년 3월까지 사회적 거리두기가 지속되었으므로 향후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가 된 2022년 및 그 이후의 데이터를 포함한 좀 더 광범위한 연구가 진행되어 이를 바탕으로 추나요법의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보장이 좀 더 확대되고 나아가 한의진료행위에 대한 건강보험 보장성을 강화하고 국민의 의료비 부담을 줄이게 되기를 바란다.

References
  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Chuna therapy health insurance medical benefits apply! [Internet]. 2019 [cited 2019 Jun 8].
    Available from: URL: http://www.mohw.go.kr/react/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CONT_SEQ=348728.
  2. The Society of Korean Medicine Rehabilitation. Korean medicine rehabilitation. 5th ed. Paju:Globooks Publishing. 2020:371-3.
  3. Lim S. Neck and waist uncomfortable I received one shot or therapy, then stroke or disc side effects [Internet]. 2019 [cited 2019 Jun 8].
    Available from: URL: https://www.medigatenews.com/news/3109820017.
  4. Song SY. It was decided to pay for chuna treatment, chuna therapy, but the validity controversy does not end [Internet]. 2019 [cited 2019 Jun 8].
    Available from: URL: http://www.docdocdoc.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66493.
  5. Noh SW. Despite the application of health insurance, the effectiveness of Chuna therapy remains constant [Internet]. 2019 [cited 2019 Jun 8].
    Available from: URL: http://www.kukinews.com/newsView/kuk201904110360.
  6. Year Book Korea Medical Publisher. 2019 Yearbook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 Deajeon:Shinjin Print. 2021:319-77.
  7. Kim HJ, Byun DY, Kim GB, Park JY, Kwon YS, Yoo JE, Lee HW, Oh MS. The statistics study on patients visiting a Korean medicine hospital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of Chuna therapy health insurance and medical benefits. J Korean Med. 2019;40(3):188-97.
    CrossRef
  8. You JE. Lessons from South Korea's Covid-19 policy response. American Review Public Administration. 2020;50(6-7):801-8.
    CrossRef
  9. Kang JH, Jang YY, Kim JH, Han SH, Lee KR, Kim MK, Eom JS. South Korea's responses to stop the COVID-19 pandemic. American J Infection Control. 2020;48(9):1080-6.
    Pubmed KoreaMed CrossRef


October 2024, 34 (4)

Cited By Articles

Funding Information

  • Crossref TDM
  • CrossMark
  • orc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