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for




 

J Korean Med Rehabi 2023 Jan; 33(1): 61-75  https://doi.org/10.18325/jkmr.2023.33.1.61
Trends of Studies in Journal of Korean Medicine Rehabilitation: Focused on Diseases and Treatment for Recent 10 years
Published online January 31, 2023
Copyright © 2023 The Society of Korean Medicine Rehabilitation.

Ji-Hong Jeong, K.M.D., Hong-Ryoul Yoon, K.M.D., Soon-Joong Kim, K.M.D.

Department of Korean Medicine Rehabilitation, Semyung University Korean Medicine Hospital
Correspondence to: Soon-Joong Kim, Department of Korean Medicine Rehabilitation, Semyung University Korean Medicine Hospital, 66 Semyung-ro, Jecheon 27136, Korea
TEL (043) 649-1920
FAX (043) 645-1382
E-mail kimsj@semyung.ac.kr
Received: December 16, 2022; Revised: December 23, 2022; Accepted: December 29, 2022
Abstract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at diseases or treatments the Korean Medicine Rehabilitation department is dealing with.
Methods For data collection, papers published from 2012 to 2021 were searched and collected on the website of the Korean Society of Rehabilitation Medicine (https://www.ormkorea.org/). After that, reconfirmed data at the Oriental Medicine Advanced Searching Integrated System (OASIS) Traditional Medicine Portal (https://oasis.kiom.re.kr/). The searched papers were classified by year and classified according to format based on thesis and abstract. In addition, the papers were classified by subject, focusing on diseases and treatments.
Results Total 557 studies were classified. The format of a total of 557 papers was distributed in 129 preclinical studies (23.2%), 136 literature studies (24.4%), 153 clinical studies (27.5%), 112 case reports (20.1%), and 27 other studies (4.8%). While preclinical studies and clinical studies are gradually decreasing over the years, case reports and literature studies are gradually increasing.
Conclusions The number of papers in Journal of Korean Medicine Rehabilitation is gradually decreasing. Papers on more diverse topics is needed for the qualitative growth of journals and Department of Korean Medicine Rehabilitation.
Keywords : Journal of Korean Medicine Rehabilitation, Disease, Treatment
서론»»»

한방재활의학이란 인체의 근골격 및 신경계통에 발생하는 각종 질환을 예방하고 치료 및 관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1). 각종 질환의 범주에는 척추와 관절에 나타나는 통증성 질환, 신경과 근육계통에 나타나는 통증 및 마비성 질환, 비만을 비롯한 다양한 원인에 따른 체형 및 자세 불균형 등 다양한 질환들이 포함된다1). 이러한 목표 달성을 위해 약물요법, 침구요법, 추나를 비롯한 각종 수기요법, 도인요법, 물리요법, 절식요법, 동종요법 등이 임상에 응용되며 도인요법에는 운동치료와 양생 및 기공치료법 등이 포함되고 물리요법에는 전기자극요법, 광선요법, 수치료법, 부항요법 등이 포함된다1).

이러한 한방재활의학의 넓은 범주로 인해 주로 연구되는 질환, 치료법 등이 무엇인지를 정확히 알기 어렵다. 이를 알아내기 위한 가장 쉬운 접근법은 해당 학회지에 수록된 논문을 살펴보는 것이다.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의 전신인 한방물리요법과학회지가 1991년~1995년까지 매년 1회 출간되었으며,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로 이름이 변경된 후 1996년에 1회, 이후 1997년~2000년까지 매년 2회 출간되고 2001년부터 현재까지 매년 4회씩 출간되고 있다. 이전에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에 실린 논문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Park 등2,3)의 통계적 오류에 대한 고찰 연구, Lee 등4)의 무작위대조임상연구의 양적, 질적 분석 등이 있지만 학회지 경향성에 대한 연구는 1998년 Kim과 Lee5)의 한방재활의학과 관련 논문에 대한 조사연구 외에는 20년이 넘도록 존재하지 않았다. 학회지 경향성에 대한 연구는 최근 10년간에는 Song 등6)의 대한경락경혈학회지 연구동향에 대한 연구, Park과 Song7)의 한방비만학회지의 연구동향에 대한 연구, Kang 등8)의 한방척추관절학회지의 연구동향에 대한 연구 등과 같이 타 학회지에만 있을 뿐이다. 이에 최근 10년간의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의 논문들을 논제를 중심으로 분석하여 한방재활의학의 연구동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 연구 대상 및 자료 수집 방법

본 연구는 2012년 22권 1호부터 2021년 31권 4호까지 수록된 논문들을 통해 10년간의 학회지 논문 경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자료 수집은 한방재활의학과학회 홈페이지(https://www.ormkorea.org/)에서 2012년부터 2021년까지 발표된 논문들을 검색하여 수집하였다. 그 후 Oriental Medicine Advanced Searching Integrated System (OASIS) 전통의학포털(https://oasis.kiom.re.kr/)의 기관별 검색 설정에서 한방재활의학과학회를 선택하여 검색 후 재확인하였다.

2. 분류 방법

검색된 논문들은 우선 연도별로 분류하였고 논제와 초록을 바탕으로 형식에 따라 분류하였다. 논문들의 형식은 한방재활의학과학회 논문투고규정을 최대한 참조하여 원저는 전임상연구와 임상연구, 기타연구로, 종설은 문헌연구로, 증례보고는 그대로 분류하였다. 전임상연구는 동물실험과 in vitro로 나누어 분류하였다. 문헌연구는 체계적 문헌고찰과 비체계적 문헌고찰을 구분하지 않고 문헌연구로 분류하였다. 증례보고는 논문 제목에 증례보고, 증례군보고 등의 말이 포함되거나 환자를 치료한 경험을 보고하고자 하는 내용의 논문일 경우 분류하였다. 임상연구는 중재의 개입여부에 따라 중재연구와 관찰연구로 나누었다. 앞선 분류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는 기타연구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논문들을 주제별로 정리하였다. 논문들의 주제는 교통사고후유증, 암 등과 같이 질환 혹은 요통, 경항통, 견통 등과 같이 증상을 기준으로 분류하고 또한 추나, 한약, 약침 등과 같이 치료법을 기준으로 분류하였다. 한 논문에 여러 개의 질환 혹은 증상이 기술된 경우 중복으로 계산하여 분류하였다. 치료법이 여러 개가 기술된 경우, 한의학적 치료라고 기술되어 2가지 이상 치료법을 사용한 경우에는 한의복합치료로 분류하였다. 다만 논문 제목에 하나의 치료법이 기술되었지만 다른 치료법도 사용된 경우, 하나의 치료법과 한의학적 치료라는 기술이 동시에 된 경우에는 중복으로 계산하여 분류하였다. 질환이나 치료법이 서술되지 않은 논문은 분류 시 제외하였다.

결과»»»

1. 연도별 및 형식별 분류

2012년부터 2021년까지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를 확인한 결과 총 557편의 논문이 게재되었고 이를 분석하였다. 연도별 논문의 개수는 2013년에 67개로 최대였고 2019년 46개로 최저였다(Fig. 1). 전체 557편의 논문의 형식은 전임상연구 129편(23.2%), 문헌연구 136편(24.4%), 임상연구 153편(27.5%), 증례보고 112편(20.1%), 기타연구 27편(4.8%)으로 분포가 이루어졌다. 증례보고와 문헌연구를 동시에 보고하여 형식이 2개가 겹치는 논문이 2편이 있었으나 계산의 편의를 위해 증례보고로 설정하여 계산하였다. 연도별 형식의 분포는 Table I에 나타나있다.

Table I. Distribution of Study Classified by Year and Type.

Variable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Total (%)
Preclinical study 18 16 19 13 12 7 10 7 18 9 129 (23.2)
Literature study 7 15 12 16 14 18 9 12 13 20 136 (24.4)
Case report 8 9 7 16 9 9 16 12 11 15 112 (20.1)
Clinical study 28 26 22 13 14 9 12 9 10 10 153 (27.5)
Other study 1 1 1 1 2 4 7 6 3 1 27 (4.8)
Total 62 67 61 59 51 47 54 46 55 55 557 (100)

Values are presented as number only or number (%)..


Fig. 1. The number of studies published in Journal of Korean Medicine Rehabilitation from 2012 to 2021.

1) 전임상연구

557편의 논문 중 전임상연구는 129편이다. 129편의 전임상연구 중 동물만을 이용하여 진행된 연구는 총 85편이었으며 모두가 실험용 쥐를 대상으로 연구되었다. 129편의 전임상연구 중 in vitro 연구는 30편이었다. 그리고 동물연구와 in vitro 연구가 혼합된 연구가 14편이었다.

2) 문헌연구

557편의 논문 중 문헌연구는 136편이다. 2012년에는 62편 중 7편으로 낮은 비율(11.3%)이었으나 2021년에는 55편 중 20편으로 비율(36.4%)이 점차 증가하였다.

3) 증례보고

557편의 논문 중 증례보고는 112편이다. 2012년에는 62편 중 8편으로 낮은 비율(12.9%)이었으나 2021년에는 55편 중 15편으로 비율(27.3%)이 점차 증가하였다.

4) 임상연구

557편의 논문 중 임상연구는 153편이다. 임상연구는 2012년 28편으로 가장 많은 형식의 논문이었으나 153편 중 연구대상에게 의도적으로 중재를 노출하여 효과를 확인하는 중재연구는 60편이었다. 관찰연구는 93편이다.

5) 기타연구

557편의 논문 중 기타연구는 27편이다. 기타연구는 대부분 새로운 임상지침을 권고하거나 환자들의 인식도를 조사하거나 기존 데이터를 분석하거나 평가도구를 번역하는 등의 논문들이 주를 이루었다.

2. 주제별 분류

1) 질환/증상별

557개의 논문 중 질환/증상을 언급한 논문을 정리했을 때 총 132개의 목차로 나눌 수 있었다. 질환/증상명은 논문에 실린 제목과 key word를 사용하거나 없는 경우 의학검색엔진(http://www.kmle.co.kr)을 이용하여 선정하였다. 가장 많이 언급된 주제는 요통으로 47개의 논문이 요통 혹은 요추염좌 등을 언급하거나 다루었다. 다음으로는 관절염이 46개, 교통사고가 42개, 비만이 40개, 골절이 34개, 추간판탈출증이 24개, 경항통이 23개, 수술 후 한방치료에 대한 것이 19개에서 사용되었다. 그 외 주제들은 Table II에서 확인할 수 있다. 단, 1개의 논문에만 실린 주제들 76편을 제외하고 55개의 목차를 정리하였다.

Table II. Number of Study Classified by Disease/Symptom.

Disease/symptom Number of study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Total
Lumbago or low back pain 7 15 5 4 4 4 4 1 2 1 47
Arthritis 7 6 5 9 1 4 3 4 2 5 46
Traffic accident injury 9 4 3 8 2 2 5 0 4 5 42
Obesity 6 1 11 0 7 2 3 2 4 4 40
Fracture 1 1 0 1 1 4 7 6 9 4 34
Herniation of interverbral disc 1 4 3 2 5 3 2 0 1 3 24
Cervicalgia 7 1 3 4 2 2 1 0 2 1 23
Postsurgical symptom 0 0 0 0 1 5 6 3 1 3 19
Cerebral stroke 0 1 0 0 2 0 2 1 3 1 10
Spinal cord injury 1 2 0 1 1 0 0 2 0 2 9
Temporomandibular disorder 1 1 0 1 2 2 1 0 0 0 8
After artificial joint arthroplasty 0 0 1 1 1 0 0 2 2 1 8
Spinal stenosis 0 0 1 0 1 1 0 0 1 3 7
Neuropathy or nerve injury 0 2 0 0 1 1 1 0 1 1 7
Osteoporosis 0 0 2 0 1 1 0 1 0 2 7
Whiplash injury 1 1 0 1 0 1 1 0 0 1 6
Headache 2 1 0 0 0 0 0 2 0 1 6
Omarthralgia 0 0 0 1 0 0 1 1 1 2 6
Rotater cuff injury 1 0 1 0 0 0 2 0 0 1 5
Nerve palsy 2 0 0 2 0 0 0 1 0 0 5
Cancer 0 0 0 0 0 0 0 0 1 3 4
Musculoskeletal disorder 0 1 0 0 1 1 0 0 1 0 4
Ankle joint sprain 0 0 1 1 1 0 1 0 0 0 4
Spondylolisthesis 0 0 0 0 2 0 0 0 2 0 4
Dementia 1 0 1 1 0 0 0 0 0 0 3
Diabetes mellitus 1 0 2 0 0 0 0 0 0 0 3
Cruciate ligament tear 0 0 0 0 0 0 1 0 0 2 3
Muscle atrophy 0 0 0 0 0 2 1 0 0 0 3
Fatigue 1 0 0 0 0 0 1 0 1 0 3
Elbow pain or lateral epicondylitis 1 0 0 0 0 1 0 1 0 0 3
Neuralgia 1 0 0 0 1 0 0 0 1 0 3
Scoliosis 0 1 1 0 0 0 0 0 1 0 3
Delayed-onset muscle soreness 1 2 0 0 0 0 0 0 0 0 3
Abnormal posture 0 1 1 0 0 1 0 0 0 0 3
Stress 0 2 0 0 0 0 0 0 0 1 3
Wound 0 0 1 0 1 0 0 0 1 0 3
Liver damage 1 1 0 0 1 0 0 0 0 0 3
Head forward posture 0 1 1 0 0 0 0 1 0 0 3
Spinal disease 0 0 0 1 0 0 0 1 0 0 2
Meniscus tear 0 0 0 0 0 0 2 0 0 0 2
Diarrhea 0 1 0 0 0 1 0 0 0 0 2
Fibromyalgia 0 0 0 0 1 1 0 0 0 0 2
Ligamentous injury 2 0 0 0 0 0 0 0 0 0 2
Avascular necrosis of the femoral head 0 0 0 0 0 0 0 0 0 2 2
Hemiplegia 0 0 0 0 1 0 0 0 1 0 2
Guillain-Barre syndrome 0 0 0 1 0 0 0 1 0 0 2
Cauda equina syndrome 0 0 0 1 0 0 0 1 0 0 2
Chronic pain or NNPS 1 0 0 0 0 0 0 0 1 0 2
Nerve entrapment 0 0 0 0 0 0 0 1 1 0 2
Frozen shoulder 0 0 0 0 0 0 0 2 0 0 2
Anaphylaxis 0 0 0 1 0 0 0 0 1 0 2
Vertigo 0 0 0 0 0 0 0 1 0 1 2
Thrombosis 0 0 0 1 0 0 0 0 1 0 2
Quadriplegia 0 0 0 1 1 0 0 0 0 0 2
Dysmenorrhea 0 0 1 0 0 1 0 0 0 0 2

NNPS: Nociceptive Neuropathic Pain Syndrome..



2) 치료별

총 557개의 논문 중 치료법을 언급한 논문은 50개의 목차로 나눌 수 있었다. 한의학적 치료, 한방치료 등으로 표현되거나 내용상 서로 다른 종류의 한의학적 치료가 2개 이상 시행하는 경우 한의복합치료로 정의하였고 한의복합치료가 142개로 가장 많았다. 한약을 언급한 논문이 114개로 뒤를 이었다. 그리고 약침치료가 53개, 침치료가 42개, 추나치료가 40개가 있었다. 그 외 주제는 Table III에서 확인 가능하다.

Table III. Number of Study Classified by Treatment.

Treatment Number of study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Total
Complex Korean medical treatment 13 10 10 17 12 13 18 14 16 19 142
Herbal medicine 9 13 13 10 12 7 10 7 20 13 114
Extract of medicinal herb 7 3 7 2 1 4 1 3 4 3 35
Acupuncture Acupuncture 8 3 7 2 4 3 4 2 4 5 42
Pharmacopuncture 8 6 2 7 7 6 5 6 2 4 53
Electro-acupuncture 1 1 0 1 1 1 0 1 2 1 9
Acupotomy 0 0 0 0 0 1 5 0 0 1 7
Embedding acupuncture 1 1 0 2 0 0 0 0 0 0 4
Press needle acupuncutre 1 0 0 0 1 0 0 1 0 0 3
Motion style acupuncture treatment 0 0 1 0 1 0 1 0 0 0 3
Warm needle acupuncture 0 0 1 0 0 0 0 0 1 0 2
Fire needle acupuncture 2 0 0 0 0 1 0 0 0 0 3
Scalp acupuncture 0 0 0 0 0 0 0 0 0 1 1
Manipulation or excercise Chuna manual therapy 4 4 6 7 2 3 0 4 3 7 40
Excercise therapy 1 3 1 1 0 1 1 1 1 2 12
Manual therapy 0 1 0 2 1 1 0 1 0 0 6
Qigong therapy 1 0 1 1 0 0 0 0 0 0 3
Yangsaeng-doinbub 0 0 1 0 1 0 0 0 0 0 2
Instrument assisted soft tissue manipulation 0 0 0 0 1 0 0 1 0 0 2
Guasha 0 0 0 0 1 0 0 0 0 0 1
Graston technique 0 0 0 1 0 0 0 0 0 0 1
Musculotendinous releasing manual therapy 0 0 0 0 0 1 0 0 0 0 1
Space spinal conduction exercise and manipulation treatment 0 0 0 0 0 0 0 0 1 0 1
Continuous passive motion 0 0 0 0 0 1 0 0 0 0 1
Craniosacral therapy 0 0 0 0 1 0 0 0 0 0 1
Physical theraphy Ultrasound 1 0 0 1 0 0 0 0 0 0 2
SCENAR therapy 0 0 1 1 0 0 0 0 0 0 2
Extracorporeal shock wave therapy 0 0 0 0 0 0 0 0 1 1 2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0 1 1 0 0 0 0 0 0 0 2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0 0 0 1 0 0 0 0 0 0 1
Electrical stimulation treatment 1 0 0 0 0 0 0 0 0 0 1
Inter current therapy 0 0 1 0 0 0 0 0 0 0 1
Therapeutic laser 0 0 0 0 1 0 0 0 0 0 1
Tending diancibo pu 1 0 0 0 0 0 0 0 0 0 1
High frequency therapy 0 0 0 0 0 0 0 0 1 0 1
Phototherapy 0 0 0 0 0 0 1 0 0 0 1
Micro current tape 0 1 0 0 0 0 0 0 0 0 1
Microcurrent electrical neuromuscular stimulation 0 1 0 0 0 0 0 0 0 0 1
Pulsed electromagnetic therapy 0 0 0 0 1 0 0 0 0 0 1
Transfer energy capacitive and resistive therapy 0 0 0 0 0 0 0 1 0 0 1
Balneotherapy 3 2 0 1 0 0 0 0 0 0 6
Cupping treatment 1 1 0 0 0 0 1 0 0 0 3
Bone-arrangement therapy 2 0 0 0 0 0 0 0 0 0 2
Detoxification 0 2 0 0 0 0 0 0 0 0 2
Moxibustion 0 0 0 0 0 0 0 1 0 0 1
Buteyko breathing technique 0 0 0 1 0 0 0 0 0 0 1
Forest therapy 0 0 0 1 0 0 0 0 0 0 1
Massage 0 1 0 0 0 0 0 0 0 0 1
Diarrhea-inducing treatment 0 0 0 0 0 1 0 0 0 0 1

SCENAR: Self-Controlled Energetic Neuro Adaptive Regulator..



3. 형식에 따른 주제별 분류

1) 전임상연구

전임상연구는 129편이며 동물만을 이용하여 진행된 연구가 85편, in vitro 연구가 30편, 동물연구와 in vitro가 함께 진행된 연구가 14편이었다.

동물연구 총 85편 중 질환/증상을 언급한 논문은 19개의 목차로 나눌 수 있었고 총 75편이었다. 각 목차에서 언급된 개수는 관절염 27개, 비만 15개, 골절 9개, 근위축, 척수손상, 당뇨 각각 3개, 골다공증, 치매, 신경손상, 피로 각각 2개, 뇌손상, 창상, 위장장애, 뇌출혈, 알레르기, 간손상, 혈전증, 화상, 신경통이 각각 1개였다(Table IV).

Table IV. The Number of Preclinical Animal Study Classified by Disease/Symptom.

Disease/symptom Number
Arthritis 27
Obesity 15
Fracture 9
Muscle atrophy 3
Spinal cord injury 3
Diabetes mellitus 3
Dementia 2
Osteoporosis 2
Nerve injury 2
Fatigue 2
Cerebral stroke 1
Allergic disease 1
Liver damage 1
Brain damage 1
Wound 1
Gastrointestinal disturbance 1
Thrombosis 1
Burn 1
Neuralgia 1


동물연구 총 85편 중 치료법을 언급한 논문은 4개의 목차로 나눌 수 있었고 총 84편이었다. 한약을 언급한 논문이 61편으로 제일 많았고 약재추출물 13개, 약침 9개, 침치료 4개 순서였다(Table V).

Table V. The Number of Preclinical Animal Study Classified by Treatment.

Treatment Number
Herbal medicine 61
Extract of medicinal herb 13
Pharmacopuncture 9
Acupuncture 4


in vitro 연구 총 30편 중 질환/증상을 언급한 논문은 3개의 목차로 나눌 수 있고 5편이었다. 비만 3개, 골다공증, 간손상 각각 1개이다(Table VI). 치료법을 언급한 논문은 3개의 목차로 나눌 수 있었고 30편 모두 치료법을 언급하였다. 약재추출물이 14개, 한약 13개, 약침 3개가 언급되었다(Table VII).

Table VI. The Number of Preclinical In Vitro Study Classified by Disease/Symptom.

Disease/symptom Number
Obesity 3
Osteoporosis 1
Liver damage 1

Table VII. The Number of Preclinical In Vitro Study Classified by Treatment.

Treatment Number
Extract of medicinal herb 14
Herbal medicine 13
Pharmacopuncture 3


동물연구와 in vitro가 함께 진행된 연구 14편 중 질환/증상을 언급한 논문은 5개의 목차로 나눌 수 있었고 13편이었다. 관절염 4개, 비만, 골절 각각 3개, 창상 2개, 우울증 1개이다(Table VIII). 치료법을 언급한 논문은 3개의 목차로 나눌 수 있으며 14편 모두 치료법을 언급하였다. 한약이 12개, 약재추출물이 1개, 침치료가 1개였다(Table IX).

Table VIII. The Number of Preclinical Animal + In Vitro Study Classified by Disease/Symptom.

Disease/symptom Number
Arthritis 4
Obesity 3
Fracture 3
Wound 2
Depression 1

Table IX. The Number of Preclinical Animal + In Vitro Study Classified by Treatment.

Treatment Number
Herbal medicine 12
Extract of medicinal herb 1
Acupuncture 1


2) 문헌연구

문헌연구는 총 136편이며 질환/증상을 언급한 논문은 58개의 목차로 나눌 수 있었고 총 102개였다. 그리고 각 목차에서 언급된 개수는 관절염 9개, 비만 8개, 요통 7개, 턱관절 5개, 골절 4개, 근골격계, 수술후유증, 인공관절치환술, 신경손상, 골다공증, 추간판탈출증 각각 3개, 회전근개손상, 견통, 편타손상, 암, 교통사고손상, 족관절염좌, 척추전방전위증, 동결견, 신경통, 현훈 각각 2개였고 측만증, 대퇴골두골무혈성괴사, 자세이상, 골반부변위, 족저근막염, 비증, 외상성손상, 불면증, 소아야제, 후종인대골화증, 스트레스, 만성통증, 고관절통, 십자인대손상, 아나필락시스, 마미증후군, 편마비, 섬유근통, 설사, 척추질환, 척추관협수근관증후군, 강직성척추염, 림프부종, 방아쇠수지, 결절종, 척수손상, 월경통, 척추수술실패착증, 뇌졸중, 경항통, 신경마비, 치매, 슬개골연골연화증, 증후군, 관절통, 이상근증후군, 단일관절질환은 각각 1개였다(Table X).

Table X. The Number of Literature Study Classified by Disease/ Symptom.

Disease/symptom Number
Arthritis 9
Obesity 8
Lumbago or low back pain 7
Temporomandibular disorder 5
Fracture 4
Musculoskeletal disorder 3
Postsurgical symptom 3
After artificial joint arthroplasty 3
Nerve injury 3
Osteoporosis 3
Herniation of interverbral disc 3
Rotater cuff injury 2
Omarthralgia 2
Whiplash injury 2
Cancer 2
Traffic accident injury 2
Ankle joint sprain 2
Spondylolisthesis 2
Frozen shoulder 2
Neuralgia 2
vertigo 2
Scoliosis 1
Avascular necrosis of the femoral head 1
Abnormal posture 1
Ossification of posterior longitudinal ligament 1
Stress 1
Chronic pain 1
Coxalgia 1
Cruciate ligament tear 1
Anaphylaxis 1
Cauda equina syndrome 1
Hemiplegia 1
Fibromyalgia 1
Diarrhea 1
Spinal disease 1
Spinal stenosis 1
Cerebral stroke 1
Cervicalgia 1
Nerve palsy 1
Dementia 1
Chondromalacia patellae 1
Carpal tunnel syndrome 1
Ankylosing spondylitis 1
Lymphedema 1
Trigger finger disorder 1
Ganglion 1
Spinal cord injury 1
Dysmenorrhea 1
Failed back surgery syndrome 1
Joint pain 1
Piriformis muscle syndrome 1
Diseases of single type joint 1


문헌연구 총 136편 중 치료법을 언급한 논문은 19개의 목차로 나눌 수 있었고 총 100개였다. 그리고 각 목차에서 언급된 개수는 한의복합치료 21개, 한약19개, 약침 16개, 침치료 13개, 추나 12개, 수기치료 4개, 운동요법 3개, 전침, 도침, 기공요법, 도인운동, 체외충격파 각가 2개, 매선, 괄사요법, instrument-assisted soft tissue manipulation (IASTM), continuous passive motion, 뜸치료, 산림치유, 접골요법 각각 1개였다(Table XI).

Table XI. The Number of Literature Study Classified by Treatment.

Treatment Number
Complex Korean medical treatment 21
Herbal medicine 19
Pharmacopuncture 16
Acupuncture 13
Chuna manual therapy 12
Manual therapy 4
Excercise therapy 3
Electro-acupuncture 2
Acupotomy 2
Qigong therapy 2
Yangsaeng-doinbub 2
Extracorporeal shock wave therapy 2
Embedding acupuncture 1
Guasha 1
Instrument-assisted soft tissue manipulation 1
Continuous passive motion 1
Moxibustion 1
Forest therapy 1
Bone-arrangement therapy 1


3) 증례보고

증례보고 총 112편의 논문은 질환/증상별로 78개의 목차로 나눌 수 있었고 2편을 제외한 110편이 질환/증상을 언급하였다. 각 목차별로 언급된 개수는 골절 17개, 수술후유증 8개, 교통사고 7개, 추간판탈출 6개, 척수손상 5개, 신경마비, 인공관절치환술, 협착증 각각 4개, 인대손상, 뇌졸중, 족관절염좌, 신경손상, 신경포착, 경항통, 십자인대손상, 길랑바레증후군, 암, 주관절염, 척추측만증, 사지마비 각각 2개, 개방성이관, 척추전방전위증, 두통, 요통, 대퇴골두무혈성괴사, 반월상연골손상, 허혈성 대장염, 설사, 섬유근통, 견통, 간손상, 회전근개손상, 마미증후군, 아나필락시스, 뇌척수염, 돌발성난청, 척추경막외농양, 아킬레스건염, 혈전증, 골괴사, 클리펠파일증후군, 경막하혈종, 사시, 천식, 극상근건염, 삼각근하점액낭염, 죽상경화증, 하지불안증후군, 족근관증후군, 인지기능저하, 보행장애, 이충만감, 대상포진, 발렌베르크증후군, 후안와통증, 안검하수, 반축얼굴경련증, 슬관절강직, 관절와순파열, 근긴장이상증, 파킨슨병, 흉요추연접부증후군, 비정형 안면통, 약물성발진, 관절염, 중뇌경색, 전근, 탈구, 안면마비, 신체증상장애, 드퀘르벵건초염, 외측연수경색, 지방종, 요실금, 사지무력, 대전자동통증후군, 강직, 신경인성 방광 각각 1개였다(Table XII).

Table XII. The Number of Case Report Study Classified by Disease/Symptom.

Disease/symptom Number
Fracture 17
Postsurgical symptom 8
Traffic accident injury 7
Herniation of interverbral disc 6
Spinal cord injury 5
Nerve palsy 4
After artificial joint arthroplasty 4
Spinal stenosis 4
Ligamentous injury 2
Cerebral stroke 2
Ankle joint sprain 2
Nerve injury 2
Nerve entrapment 2
Cervicalgia 2
Cruciate ligament tear 2
Guillain-Barre syndrome 2
Cancer 2
Elbow pain or lateral epicondylitis 2
Scoliosis 2
Quadriplegia 2
Patulous Eustachian tube 1
Spondylolisthesis 1
Headache 1
Lumbago or low back pain 1
Avascular necrosis of the femoral head 1
Meniscus injury 1
Ischemic colitis 1
Diarrhea 1
Fibromyalgia 1
Omarthralgia 1
Liver damage 1
Rotater cuff injury 1
Cauda equina syndrome 1
Anaphylaxis 1
Encephalomyelitis 1
Sudden hearing loss 1
Spinal epidural abscess 1
Achilles tendinitis 1
Thrombosis 1
Osteonecrosis 1
Klippel-Feil syndrome 1
Subdural hematoma 1
Strabius 1
Asthma 1
Supraspinatus tendinitis 1
Subdeltoid bursitis 1
Atherosclerosis 1
Restless legs syndrome 1
Tarsal tunnel syndrome 1
Cognitive decline 1
Gait disturbance 1
Ear fullness 1
Herpes zoster 1
Wallenberg’s syndrome 1
Retro-orbital pain 1
Ptosis 1
Hemifacial spasm 1
Knee stiffness 1
Superior labrum from anterior to posterior tear 1
Dystonia 1
Parkinson disease 1
Thoracolumbar junction syndrome 1
Atypical facial pain 1
Drug eruption 1
Arthritis 1
Mid brain infarction 1
Muscle cramp 1
Dislocation 1
Facial paralysis 1
Medically unexplained symptom 1
De Quervain's disease 1
Lateral medullary infarction 1
Lipomatosis 1
Urinary incontinence 1
Limb weakness 1
Greater trochanteric pain syndrome 1
Spasticity 1
Neurogenic bladder 1


증례보고 총 112편의 모든 논문이 치료를 언급하였고 27개의 목차로 나눌 수 있었다. 각 목차별로 언급된 개수는 한의복합치료 70개, 추나 17개, 약침 15개, 침치료 11개, 전침, 운동요법 각각 4개, 도침, 화침 각각 3개, 매선, 피내침, 스케나, 해독요법 각각 2개였고 IASTM, 그라스톤테크닉, 근건이완수기요법, 공간척추도인안교법, motion style acupuncture treatment (MSAT), 치료레이저, 고주파치료, 광선치료, Buteyko breathing technique, 마사지, 공하법, 두침요법, 약재 추출물,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transfer energy capacitive and resistive (TECAR) therapy 각각 1개였다(Table XIII).

Table XIII. The Number of Literature Study Classified by Treatment.

Treatment Number
Complex Korean medical treatment 70
Chuna manual therapy 17
Pharmacopuncture 15
Acupuncture 11
Electro-acupuncture 4
Excercise therapy 4
Acupotomy 3
Fire needle acupuncture 3
Embedding acupuncture 2
Press needle acupuncutre 2
SCENAR therapy 2
Detoxification 2
Instrument-assisted soft tissue manipulation 1
Graston technique 1
Musculotendinous releasing manual therapy 1
Space spinal conduction exercise and manipulation treatment 1
Motion style acupuncture treatment 1
Therapeutic laser 1
High frequency therapy 1
Phototherapy 1
Buteyko breathing technique 1
Massage 1
Diarrhea-inducing treatment 1
Scalp acupuncture 1
Extract of medicinal herb 1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1
TECAR therapy 1

SCENAR: Self-Controlled Energetic Neuro Adaptive Regulator,.

TECAR: Transfer Energy Capacitive And Resistive..



4) 임상연구

임상연구는 153편이고 이 중 중재연구가 60편, 관찰연구가 93편이었다.

중재연구 60편 중 질환/증상을 언급한 논문은 22개의 목차로 나눌 수 있었고 총 51편이었다. 각 목차에서 언급된 개수는 요통 14개, 경항통 10개, 교통사고 7개, 비만 6개, 관절염, 두통, 지연성근육통 각각 3개, 추간판탈출증 2개, 편타손상, 피로, 주관절통, 뇌졸중, 자세이상, 편마비, 만성통증, 스트레스, 갱년기, 변비, 수족냉증, 전방머리자세, 기능성 소화불량, 월경통 각각 1개였다(Table XIV).

Table XIX. The Number of Clinical Intervention Study Classified by Disease/Symptom.

Disease/symptom Number
Lumbago or low back pain 14
Cervicalgia 10
Traffic accident injury 7
Obesity 6
Arthritis 3
Headache 3
Delayed-onset muscle soreness 3
Herniation of interverbral disc 2
Whiplash injury 1
Fatigue 1
Elbow pain or lateral epicondylitis 1
Cerebral stroke 1
Abnormal posture 1
Hemiplegia 1
Chronic pain 1
Stress 1
Climacterium 1
Constipation 1
Cold hypersensitivity 1
Head forward posture 1
Functional dyspepsia 1
Dysmenorrhea 1


중재연구 60편 중 치료법을 언급한 논문은 24개의 목차로 나눌 수 있었고 총 58편이었다. 각 목차에서 언급된 개수는 침치료 11개, 한의복합치료 9개, 추나 9개, 온천요법, 약재추출물 각각 6개, 한약, 약침 각각 4개, 전침, 운동요법, 부항 각각 3개, MSAT, 수기치료, 혈위초음파요법, 경피전기자극치료 각각 2개, 매선, 혈위도전요법, 특정전자파치료, 미세전류테이프, 미세전류치료기, 두개천골요법, 박동성전기자장치료, 경근간섭파요법, 피내침, 기공요법이 각각 1개였다(Table XV).

Table XV. The Number of Clinical Intervention Study Classified by Treatment.

Treatment Number
Acupuncture 11
Complex Korean medical treatment 9
Chuna manual therapy 9
Balneotherapy 6
Extract of medicinal herb 6
Herbal medicine 4
Pharmacopuncture 4
Electro-acupuncture 3
Excercise therapy 3
Cupping treatment 3
MSAT 2
Manual therapy 2
Ultrasound 2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2
Embedding acupuncture 1
Electrical stimulation treatment 1
Tending diancibo pu 1
Micro current tape 1
Microcurrent electrical neuromuscular stimulation 1
Craniosacral therapy 1
Pulsed electromagnetic therapy 1
Inter current therapy 1
Press needle acupuncutre 1
Qigong therapy 1


관찰연구 93편 중 질환/증상을 언급한 논문은 25개의 목차로 나눌 수 있었고 총 84편이었다. 각 목차에서 언급된 개수는 요통 22개, 교통사고 21개, 추간판탈출증 13개, 경항통 10개, 비만 5개, 뇌졸중 3개, 견통 3개, 협착증, 수술후유증, 두통, 전방머리자세, 편타손상, 골절, 회전근개, 관절염 각각 2개, 골다공증, 근골격계, 척추전방전위증, 자세이상, 악관절통, 반월상연골손상, 유착성관절낭염, 팔저림, 스트레스, 척추분리증 모두 1개였다(Table XVI).

Table XVI. The Number of Clinical Observational Study Classified by Disease/Symptom.

Disease/symptom Number
Lumbago or low back pain 22
Traffic accident injury 21
Herniation of interverbral disc 13
Cervicalgia 10
Obesity 5
Cerebral stroke 3
Omarthralgia 3
Spinal stenosis 2
Postsurgical symptom 2
Headache 2
Head forward posture 2
Whiplash injury 2
Fracture 2
Rotater cuff injury 2
Arthritis 2
Osteoporosis 1
Musculoskeletal disorder 1
Spondylolisthesis 1
Abnormal posture 1
Temporomandibular disorder 1
Meniscus tear 1
Adhesive capsulitis 1
Arm paresthesia 1
Spondylolysis 1
Stress 1


관찰연구 93편 중 치료를 언급한 논문은 11개의 목차로 나눌 수 있고 총 50편이었다. 각 목차에서 언급된 개수는 한의복합치료 43개, 약침, 약재추출물 각각 6개, 한약 4개, 침치료, 추나, 운동요법 각각 2개, 피내침, 도침, 수기치료, 접골요법 각각 1개였다(Table XVII).

Table XVII. The Number of Clinical Observational Study Classified by Treatment.

Treatment Number
Complex Korean medical treatment 43
Pharmacopuncture 6
Extract of medicinal herb 6
Herbal medicine 4
Acupuncture 2
Chuna manual therapy 2
Excercise therapy 2
Press needle acupuncutre 1
Acupotomy 1
Manual therapy 1
Bone-arrangement therapy 1


5) 기타연구

기타연구 27편 중 질환/증상을 언급한 논문은 9개의 목차로 나눌 수 있고 총 18편이었다. 각 목차에서 언급된 개수는 수술후유증 6개, 교통사고손상 5개, 요통 3개, 턱관절장애 2개, 뇌진탕, 편타손상, 관절염, 척추질환, 인공관절치환술 각각 1개였다(Table XVIII).

Table XVIII. The Number of Other Study Classified by Treatment.

Disease/symptom Number
Postsurgical symptom 6
Traffic accident injury 5
Lumbago or low back pain 3
Temporomandibular disorder 2
Concussion 1
Whiplash injury 1
Arthritis 1
Spinal disease 1
After artificial joint arthroplasty 1


기타연구 27편 중 치료를 언급한 논문은 3개의 목차로 나눌 수 있고 총 4편이었다. 각 목차에서 언급된 개수는 온침 2개, 한약과 도침이 각각 1개였다(Table XIX).

Table XIX. The Number of Other Study Classified by Treatment.

Treatment Number
Warm acupuncture 2
Herbal medicine 1
Acupotomy 1

고찰»»»

한방재활의학과는 이름으로 인해 다양한 유형의 재활을 원하는 환자들이 병원을 내원한다. 근골격계 환자들이나 뇌졸중으로 인한 마비 환자, 척수질환으로 인한 마비 환자, 말초신경질환 환자와 같은 마비 환자들 외에도 비만, 호흡기능장애나 순환기장애와 같은 내과적 질환의 환자들도 한방재활의학과에 내원한다9). 하지만 임상한의사들조차 대부분 근골격계나 마비질환만을 다루는 과로 알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실정 속에서 한방재활의학과에 소속되어 있는 한의사들은 어떤 질환과 치료에 관심을 가지고 진료하고 있는지에 대한 의문을 풀기 위해 학회지의 경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도별로 분석해보았을 때 10년 중 전반기인 2012~ 2016년은 평균 60개의 연구가 발표되었으나 후반기인 2017~2021년은 평균 51.4개의 연구가 발표되었다. 전임상연구는 전반기 5년 동안 평균 15.6개가 발표되었으나 후반기 5년에는 10.2개로 점점 줄어드는 경향을 나타냈다. 이와 마찬가지로 임상연구도 전반기 5년 평균 20.6개에서 후반기 5년 10개로 줄어들어 가장 많이 줄었다. 이에 반해 문헌연구는 전반기 5년 12.8개에서 후반기 5년 14.4개로 늘어났고 증례보고도 전반기 5년 9.8개에서 12.6개로 늘어났다. 총 연구의 수가 평균적으로 들어든 것을 고려한다면 문헌연구와 증례보고 큰 비율로 늘어났음을 알 수 있다.

10년간의 논문 중 임상연구가 27.5%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으나 기타연구를 제외하면 제일 적은 분포인 증례연구가 20.1%이므로 학회지 논문형식이 특정 형식의 논문위주로 치우치지 않고 고른 분포를 가졌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논문의 총 개수가 전반기에 비하여 후반기에 평균적으로 줄어든 것과 임상연구와 전임상연구의 비율이 줄어드는 것에 대한 원인은 추가적인 분석이 필요하다.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에 주로 투고하는 수련의의 숫자는 전반기 약 93명이고 후반기 약 96명으로 오히려 늘어났기에 영향을 끼치지 못하였다. 유관학회인 한방비만학회는 전반기 대비 후반기에 평균 1.8개 증가하였으나 대한스포츠의학회, 척추신경추나의학회는 각각 평균 2.6개 감소하여 유관학회가 끼친 영향이 크다고 할 수 없었다. 평균 재활과에 내원하는 환자수의 감소인지 혹은 기타 학회의 증가나 논문의 질적향상의 추구 등의 다른 이유인지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질환/증상별로 살펴보았을 때 최근 10년간 요통, 관절염, 교통사고 손상, 비만, 골절, 추간판탈출증, 경항통 등의 순서로 근골격계 질환과 교통사고 관련 질환, 그리고 비만과 골절 등의 질환에 주제가 몰려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10번 이상 다루어진 주제들을 살펴보았을 때, 최다 주제인 요통과 관련된 논문은 2012~2016년 동안 35개에서 2017년 이후로는 12개로 65%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관절염도 전반기 28개에서 후반기 18개(-35%), 교통사고 후유증도 전반기 26개에서 후반기 16개(-38%), 비만 전반기 25개에서 후반기 15개(-40%), 추간판탈출증 전반기 15개에서 후반기 9개(-40%), 경항통 전반기 17개에서 후반기 6개(-75%)로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반해 골절은 전반기 4개에서 후반기 30개로 750%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찬가지로 양방병원에서 수술 후 생긴 증상과 관련된 논문도 전반기 1개에서 후반기 18개로 1,800% 증가하였고 뇌졸중에 관한 논문들도 전반기 3개에서 후반기 7개로 233%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표본의 수는 적었지만 치매, 지연성근육통, 간손상과 관련된 논문들은 전반기에만 존재하고 후반기에는 존재하지 않고 현훈, 동결견, 신경포착, 대퇴골두 무혈성 괴사, 십자인대 파열, 근위축, 암에 관한 논문들은 전반기에 존재하지 않았으나 후반기에만 존재하였다.

치료법을 살펴보았을 때 한의원 혹은 한방병원의 치료 특성상 단일치료보다는 복합적인 치료가 많이 이루어지기에 연구들에서도 복합치료가 많은 특징을 확인할 수 있었다. 10번 이상 다루어진 주제들을 살펴보았을 때, 한의복합치료는 2012~2016년 동안 62개에서 2017년 이후 80개로 29%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약과 운동치료는 전반기와 후반기가 동일한 숫자였다. 약재추출물은 전반기 20개에서 후반기 15개(-25%), 약침은 전반기 30개에서 후반기 23개(-23%), 침치료는 전반기 24개에서 후반기 18개(-25%), 추나도 전반기 23개에서 후반기 17개(-26%)로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표본의 수는 적었지만 도침은 2012~2016년 동안 0개에서 2017년 이후 7개로 수가 늘어나고 있었다. 체외충격파치료도 전반기 0개에서 후반기 2개로 후반기에만 존재하였다. 이에 반해 매선은 2012~2016년 동안 4개에서 2017년 이후 0개로 관심이 줄어들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기공요법, 양생도인요법, 해독요법, 접골요법, 혈위초음파요법, Self-Controlled Energetic Neuro Adaptive Regulator (SCENAR),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도 최근 5년 동안 연구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외에도 한방물리치료 기기들에 대한 연구가 전반적으로 부족한 것을 알 수 있었다. 학회지의 질적 성장을 위해 보다 다양한 질환과 치료법을 다룬 연구들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형식별로 살펴보았을 때, 전임상연구에서 동물연구 경우 다룬 질환/증상은 관절염(35%), 비만(19%), 골절(12%) 순서로 많았다. 치료법은 한약(70%)에 치우쳐 있고 약재추출물(15%), 약침(10%) 순이었다. in vitro 연구의 경우 질환/증상을 언급한 논문이 5편뿐이고 비만 3개, 골다공증 1개, 간손상 1개였다. 하지만 치료법은 모든 연구에서 언급되었고 약재추출물(39%), 한약(36%), 약침(25%) 순이었다. 동물과 in vitro가 동시에 진행된 연구는 관절염, 비만, 골절 순으로 많았지만 창상이나 화상 같은 피부질환이나 우울증 같은 정신과 질환도 연구가 시도되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었다.

문헌연구의 경우 질환/증상은 관절염(8%), 비만(7%), 요통(6%)이 상대적으로 많긴 하였으나 크게 치우치지 않고 다양한 질환을 다루고 있었다. 치료법은 한의복합치료(20%), 한약(18%), 약침(15%), 침치료(12%), 추나(11%) 순서로 많았으며 산림치료, 괄사치료, 기공법이나 도인운동법 등의 치료도 연구되고 있었다.

증례보고의 경우 논문의 특성상 일상적으로 자주 접하지 못하는 질환을 보고하는 경우가 많은데 그러다 보니 최근 10년간은 의외로 골절(12%)과 관련된 논문이 가장 많이 발표되었고 수술후유증(6%), 교통사고(5%) 순이었다. 그리고 총 78개의 질환/증상이 다루어져 가장 많은 종류를 다룬 형식이었다. 치료법의 경우 한의복합치료(47%)가 가장 많이 다루어졌고 추나(11%), 약침(10%), 침치료(7%) 순서였다. 다른 형식의 연구들에 비해 한약이나 약재 추출물(1%)만을 이용한 연구가 적었다. 그리고 총 27개의 치료법이 사용되어 가장 많은 종류의 치료법이 제시된 형식이었다.

임상연구에서 중재의 경우 질환/증상은 요통(23%), 경항통(16%), 교통사고손상(11%) 등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한의원에 내원하는 종류의 질환들이10) 가장 많이 연구되었다. 관찰연구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요통(21%), 교통사고손상(20%), 추간판탈출증(13%), 경항통(10%) 순서였다. 치료법은 중재의 경우 침치료(14%), 한의복합치료(11%), 추나(11%) 순서로 많았으나 한쪽에 치우치지 않고 다양한 치료법이 사용되었다. 하지만 관찰의 경우 한의복합치료(62%)가 압도적으로 많이 연구되었고 약침(9%), 약재추출물(9%) 순이었다.

본 연구는 질환/증상과 치료법 위주로 분류하여 질환이나 치료법의 제시가 아닌 데이터를 대상으로 한 연구나 특정 효능을 알아보는 연구는 제외된 점에서 한계가 있다. 또한 질환이나 치료법을 포괄적으로 다루어 구체적인 치료약이나 약침 등을 알 수 없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으며, key word를 위주로 정리하여 겹칠 수 있는 영역의 질환들이 나누어져 서술되어 있으므로 추후 보완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결론»»»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의 2012년부터 2021년까지의 논문들을 년도, 형식, 주제별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전체 557편의 논문의 형식은 전임상연구 129편(23.2%), 문헌연구 136편(24.4%), 임상연구 153편(27.5%), 증례보고 112편(20.1%), 기타연구 27편(4.8%)으로 분포가 이루어졌다. 10년의 기간을 5년씩 전반기와 후반기로 나누었을 때 한 해 논문수의 평균이 전반기에 비해 후반기가 8.6개 감소하였다. 전반기에서 후반기로 갈수록 전임상연구와 임상연구는 줄어들고 문헌연구와 증례보고는 증가하였다.

  • 질환 혹은 증상별로 살펴보았을 때 가장 많이 언급된 주제는 요통, 관절염, 교통사고, 비만, 골절, 추간판탈출증, 경항통 등의 순서를 가졌다. 요통, 관절염, 교통사고, 비만, 추간판탈출증, 경항통은 전반기에 비해 후반기에 숫자가 감소하였고 골절, 양방수술 후유증, 척수손상, 뇌졸중은 전반기에 비해 후반기에 숫자가 증가하였다.

  • 치료법별로 살펴보았을 때 가장 많이 언급된 주제는 한의복합치료, 한약, 약침, 침치료, 추나 등의 순서를 가졌다. 약재추출물, 약침치료, 침치료, 추나치료, 매선 등은 전반기에 비해 후반기에 숫자가 감소하였고 한의복합치료, 도침치료는 전반기에 비해 후반기에 숫자가 증가하였다.

  • 형식별로 살펴보았을 때, 전임상연구의 경우 질환은 관절염, 비만, 골절 순서로 가장 많이 언급되었고 치료법은 한약, 약재 추출물 순서로 많이 언급되었다. 문헌연구의 경우 질환은 관절염, 비만, 요통 순서로 많이 언급되었고 치료법은 한의복합치료, 한약, 약침, 침치료, 추나 순서로 많이 언급되었다. 증례보고의 경우 질환은 골절, 수술후유증, 교통사고손상 순서로 많이 언급되었고 치료법은 한의복합치료, 추나, 약침 순서로 많이 언급되었다. 임상연구의 경우 질환은 요통, 경항통, 교통사고손상 순서로 많이 언급되었고 치료법은 한의복합치료, 침치료, 추나 순서로 많이 언급되었다.

References
  1. Korean Rehabilitation Society. Korean rehabilitation medicine. 5th ed. Paju:Globooks. 2020:3-4.
  2. Park TY, Heo TY, Shin BC. Statistical errors of article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Oriental Rehabilitation Medicine (I). J Korean Med Rehabil. 2010;20(4):105-30.
  3. Park TY, Heo TY, Ko YS, Moon SJ, Lee JH. Statistical errors of article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Oriental Rehabilitation Medicine (II). J Korean Med Rehabil. 2012;22(1):59-73.
  4. Lee HY, Heo KH, Cho HW, Hwang EH, Shin MS, Shin BC. Randomized controlled clinical trials in the Journal of Oriental Rehabilitation Medicine: a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1). J Korean Med Rehabil. 2013;23(1):87-100.
  5. Kim DH, Lee IS. A study on the paper on oriental rehabilitation medicine. J Korean Med Rehabil. 1998;8(2):243-69.
  6. Song JC, Hwang SY, Ahn SH, Eom DM. Trends of studies in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2016;33(1):1-11.
    CrossRef
  7. Park SH, Song YK.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Korean Medicine for Obesity Research: focused on 2010-2019. Journal of Korean Medicine for Obesity Research. 2020;20(2):149-77.
    CrossRef
  8. Kang DH, Kang JH, Lim MA, Lee HJ, Kim DR, Youn IH. A trends of studies in Journal of the Spine & Joint Korean Medicine. Journal of the Spine & Joint Korean Medicine. 2016;13(1):15-23.
    CrossRef
  9. Jin SY, Lee SK, Sin BC, Kwon YD, Song YS, Lee SY. A statistics study of patients of oriental rehabilitation medicine. J Korean Med Rehabil. 2001;11(3):73-91.
  10. Cheon CH, Kim JH, Cho YK, Choi DP, Yoon SH, Cha JW, Jang BH, Shin YC, Ko SG. The analysis on the use experience of other medical institution for the same symptoms and the frequent diseases of outpatients of Korean medical institution: based on the 2017 Korean medicine utilization and herbal medicine consumption Survey. Journal of Society of Preventive Korean Medicine. 2019;23(3):13-20.


January 2023, 33 (1)

Cited By Articles
  • CrossRef (0)

  • Crossref TDM
  • CrossMark
  • orcid